1. 창건기 1974년 2월 ~
1978년 말
1974년 2월, 지학(智學)스님의 집전으로
Chicago Logan Square 지역 Sawyer Ave. 소재 아파트에서 첫 법회를 가졌다. 그해 4월경 3437 N.
Damen Avenue로 이전하였고, 동년 10월에 조금 더 넓은 공간을 가진 4954 N. Western Avenue로
이전하여 정기적으로 일요법회를 보아 오던 중 1978년에 불타사에서 이 건물을 매입하였다.
Damen Avenue에 있을 때 사찰 이름을
“불타사” “Korean Buddhist Temple of Chicago”로 정하고 Western Avenue로 이사 와 불타사
간판을 건물 정면에 처음으로 설치하였다.
지학(智學)스님은 1972년 일본 유학중에 프로비덴스
재미(在美) 홍법원(弘法院)에 주석(駐錫)하셨던 숭산행원(崇山行願) 큰스님의 초청을 받고, 1973년 연말에 도미(渡美)하여
프로비덴스를 거쳐 시카고에 정착하여, 1974년 초, 숭산스님의 지도 하에 첫 법회를 집전하고 큰스님을 은사로 득도하여 불타사
창건불사에 전념하였다.
초기 법회에 법성화보살, 법계성보살, 금강심보살,
명왕심보살, 최일당거사, 태고심보살, 임대지거사, 박영규거사 등등 약 20여명이 동참하여 기초를 닦았다.
숭산스님께서는 1974년 5월 17일에 수계법회를
집전하시어 임대지거사를 비롯해 많은 불자들이 수계하였다. 큰스님께서는 매년 1~2회 몸소 불타사에 오셔서 모든 지도와 보살계
수계 등 세세한 면까지 불사 운영을 지도해 주셨고, 1978년 말 지학스님이 불타사를 떠난 후에도 불타사를 방문하시어 법회 및
수계법회를 주관하여 주셨다. 불타사 창건 이래 최초로 모신 현재 극락전 아미타부처님은 1975년에 숭산스님께서 한국에서
조성하시어 불타사에 모시고 오셔서 점안하셨다. 그리고 1989년에 무설전 석가모니부처님과 원불 봉안 및 점안식을 봉행하시는 등
건강상의 사유로 외국출입이 어려우실 때까지 지원해 주셨기에 불타사와 숭산스님과는 불타사가 창건된 태동기부터 내용상으로는
조실(祖室)의 인연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2. 정착기 1978년 말
~ 1990년 7월
1978년말에 지학스님께서 주지 직을
숭산스님께서 소개하신 혜광스님에게 인수인계하였으나 혜광스님이 후임 주지를 정하지 않으시고 1979년 6,7월경에 떠나셔서 주지
공백이 있게 되었다.
1980년 5월 15일에 홍선스님이 3대 주지로
부임하신 후 1981년 처음으로 20인승 밴을 구입하여 신도님들에게 교통편을 제공하고, 그랜드 피아노도 구입하여 합창단을
조직하였으며, 1984년 4월에 불사를 위한 시화전 및 음악회를 개최하는 등의 불사를 하였다.
1986년 6월, 현재 위치인 4360 W.
Montrose Ave., Chicago, IL 60641에 소재한 두 동의 상가 건물을 구입하여 절로 개조하였는데 대지는
550평이고 건물은 2층으로 총 490평이다. 1989년 숭산 스님을 모시고 무설전 부처님 봉안 및 점안식과 천불상 봉안식을
하였다.
1990년 7월, 홍선스님은 한국의 중앙승가대학
교수로 부임하기 위해 주지 직을 사임하셨으나 1991년 1월 27일 대웅전에 좌상 석가모니불 높이 2ft 8inch를 조성,
봉안, 점안불사를 봉행했다.
1992년 음력 3월 24일, 홍선스님께서
석가모니불, 약사여래불, 아미타여래불 등 3존불, 십대제자(十大弟子), 팔보살(八菩薩), 사천왕(四天王) 등이 모셔진 높이
4ft 2inch, 가로 6ft 1inch 신중탱화를 조성, 봉안, 점안불사를 했다. 이 신중탱화를 조성 봉안함에 헌신하신
분들은 신도회장 문장기, 화주(化主) 최무량심, 대시주(大施主) 김학산(金學山)거사, 진태훈(秦太勳)거사,
이정법심(李正法心)보살, 서안순(徐安舜)보살, 현무진행(玄無漏行)보살, 김영춘(金榮春)보살 등이다.
3. 혼란기를 지나 중흥불사의 발원기 1990년 7월
~ 2006년
1990년 7월, 홍선스님께서
주지 직을 사임하신 후 여러분의 스님께서 3~4개월에서 2~3년간 주지로 머무시곤 하여 잦은 공백기가 있어 신도들의 이탈로 절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시기에 이사장 학산 김택영거사께서 어려움을 극복하여 나가는데 큰 도움을 주셨다.
2002년 4월 서울 화계사에 계셨던 현성스님이 미국
서부지역에 와서 불교현황 및 전법활동을 답사하고 동부 뉴욕지역으로 가던 중 7월
6일 불타사에 와서, 7월 7일 일요법회를 집전하였다.
그 당시 주지 직이 공석 중이어서 불타사 신도회와 이사회에서 스님에게 주지
직을 맡아 주실 것을 청하였고,
스님께서는 한국에 계셨던 스님의 은사이신 숭산행원스님의 재가를 받아 이에
응하시어 8월 4일 시카고 불타사
11대 주지 진산식을 갖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05년
4월에 한미TV방송에서 기획한 시카고이민100년사 씨리즈에 시카고 한국 불교역사에 관한 대담요청이 있었다. 이
때, 불타사의 31년 역사기간을 현성스님
오시기 전과 후 2기로 나누고, 현성스님이
오시기 전 30년간의 불타사
역사가 2회분 방영되었다. 이때 대담자는
임관헌거사, 이정법심보살, 최명진거사가
참여하였다.
임관헌거사는 불타사 태동기에 신도회 총무로서 활약하였고, 이정법심보살은
1986년에 불타사에 나오기 시작하여 합창단을 창단하여 봉사해 왔으며, 최명진거사는
1982년부터 불타사에 나와 학생회 회장, 청년회
회장으로 활동하였기에 이 부분들을
각기 대변하게 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6월에
현성스님에 대한 대담
내용이 2회 방영되어 스님이 불타사에 오신 후의 활동과 그의 내면세계와 불교를
교포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한
편 현성스님은 불기 2547년(2003년) 12월
14일 불타사 중창 건축불사를 발원하신 후
2007년 건축설계, 2008년 착공을 목표로 불타사 건축
원만성취 발원
1000일 관음기도를 준비하고 있었다.
신
축불사 기도 중이던 2006년 1월 불타사에
소속된 땅인 줄 알았던 주차장의 일부인 10x141 피트가 공매에 붙여져 불타사
땅이 아닌 것이 밝혀졌다.
6월에 1월 공매에서 이 땅을 산 사람으로부터 매입하여
Court에 가서 판사의 승인을 받고, 2551(2007)년
1월 15일 등기등본을 받게 되었다.
4.중흥불사 제1차 완성기 2007년 ~ 현재
새
로 구입한 주차장 일부의 땅과 접하여 있는 4338번지 땅 19,740
sq ft, 단층 건물 12,000 sq ft 부동산을
불기
2551(2007)년 2월 8일 매입계약을
하여 5월 17일 오후 4시에
Escrow가 close되어 불타사 소유가 되었다.
불
기
2551(2007)년 5월 20일 부처님 오신 날 행사의 일환으로 새 건물에 관세음보살님을 모시고 고불식을 올리고, 봉축법요식을
새 건물에서 봉행했다.
앞
으로 이 건물을 교육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코자 하여 이 건물 이름을 「불타사 동방교육관」이라
하고 관세음보살님을 모신 방을 「관음전」이라 했다.
이
러한 불타사 불자들의 소원을 포함하기 위해 불기
2551(2007)년 6월 10일〔시카고 불타사 건축불사 발원문〕을 수정하게 되었다.
2007년 3월 18일
: 신도들에게 신앙의 영적인 감응을 체험하게 하고 보시공덕을 짓게 하기 위해 사경불사를
시작하여 3월 30일 [사경불사 권선문]을 공지하였다. 사경은 한글 한문 반야심경, (영문 반야심경
조성 중),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사경하고 사경한 경전을 불전에 올릴 때 임의로 함께
봉헌하는 사경공양금으로
사경탑을 조성하여 사경한 경전을 영구 보존 하도록 하고, 그 외는 모두 불사금으로
사용될 것이다.
많은 분들에게 사경을 권선하여 멀지 않아 만(万)분의 사경행자가 이루어지기를 기원한다.
2007년
11월 17일 “정율스님과 함께하는 불타예술제”를 신
건물에서 개최했다.
2008년
5월 11일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과 불타예술제를 새
건물에서 봉행했다.
2009년
4월 25일 부처님오신날 전야제 “제3회 불타예술제”를
새 건물에서 개최하고, 5월 3일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을 새 건물에서
봉행했다.
2009년
2월 25일 : 2007년 5월 17일 이 건물을
매입한 후 내부 개조설계를 시작해 시카고 시청에 개조공사에 필요한 절차를
밟기 시작했으나 2009년 2월
25일에야 건축허가를 받아, SL Builders General Contractor가 시공을 시작했다.
2009년
7월 7일 : 모
든 공사를 완료하고 시청으로부터
건물사용허가를 받았다.
2009년
7월 19일 : 불
기(佛旗), 태극기, 미국기(美國旗) 3기
개양대를 시설하고 3기 봉불식을 거행했다.
2009년
7월 26일 : 관
음전 내에 음향시설과 관세음보살님을
모실 상단시설을 현재와 같이 완료하고 음향시설과 관세음보살님 상단 봉불식을 거행했다.
2009년
8월 2일 : 새
Weinbach
Grand Piano 를 구입, 관음전에
안치하고 봉불식을 거행했다.
2009년
11월 15일 : 한
국 수덕사 덕숭총림 방장이신
설정큰스님의 증명하에 “불타사 동방교육관” 낙
성식을 봉행하고,
오후에는 12분의 스님들을 비롯한
대중들이 참여한 가운데, “미주포교 활성화를 위한 제언”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가졌다.
2009년
11월 15일 : “불
타사 동방교육관”
낙성식 때 반야림(般若林)
참선방 현판 제막식을
설정큰스님 증명하에 봉행했다.
2010년
4월 11일 : 2009년
12월 6일 제33회
법등회의에서 관음전을
“보원 관음전”으로 명명하고, 2010년
4월 11일 “보원
관음전” 현판 봉불식을 봉행했다.
2010년
4월 11일 : 그
동안 무설전에서 행해오던
일요법회를 4월 11일부터 보원 관음전에서
일요법회를 시작하고,
이날부터 3*7신중기도를 봉행했다.
2010년
5월 8일 : “제4회 불타예술제”를 행하고,
2010년
5월 16일 : 부
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을 봉행했다.
2010년
8월 9일에서 13일
까지 4박 5일간 대학생과 고등학생
템플스테이를 신건물과 구건물에서 행했다.
현
재 불타사에 등록된 신도는 약 300여 세대이며 매주 일요일 법회에 참여하는 신도는 청소년법회,
어린이법회를 포함해서 약 160명
내외이다.
5. 종교단체 인가증 및 부동산 현황
[인가/등록증]
불
기 2518년(서기 1974년)
10월 25일 일리노이 주법(洲法)에 종교단체(宗敎團體)로 인가(認可)를 받았다.
[인가번호 24324]
서
기 1994년 2월 11일 미
연방정부 세무국(Internal Revenue Service), 세무규칙(Internal
Revenue
Code), Section 501(c)(3)에 의하여 종교법인 비영리단체로 인정받아 금일에 이르고
있다.
2006년 12월 28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에 불타사를 등록하여 이날 부로 ‘사찰등록증’을 받아, 공식적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시카고 불타사가 되었다.
[부동산 현황]
★ 4360 W.
Montrose Avenue 기존 건물 (1986년
6월에 매입)
대
지는
19,939square feet ="" 550평
건
물은 2층, 지하 1층(창고)이다.
2층 건물에는 대웅전, 극락전, 어린이 방, 요사체 등이 이층에 있고,
무
설전, 공양간, 사무실, 요사체
등이 아래층에 있으며,
지
하실은 Utility와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한
층에 8,821sf,
지하에 2,451sf
1, 2층, 지하 합:
20,093sf ="" 558평
★ 10ft x 141ft의 주차장
일부 땅 (2007년 1월 15일 등기등본 받음)
4360 W.
Montrose Avenue 주차장 동쪽으로 접하여 있는 빈 땅.
★ 4338 W.
Montrose Avenue 건물 (2007년
5월 17일에 매입)
2007년 정월에 등기한 주차장 10‘
x 141’의 땅 동쪽으로 접하고 있는 부동산이다.
대
지는 19,940
sq ft이고 구입시 단층 창고 건물 및 사무실을 포함하여 건평
12,000 sq ft이다.
이
건물을 교육관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2009년 7월
7일 개조 완공하여 사용허가를 받아‘불타사 동방교육관’으로 이름을 지었다. 이곳에
새로 개조 완공된 강당/법당, 참선방 및
교실은 다음과 같다.
관
음전 - 200여석을
비취하여 강당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이화월 보살이 기증한 관세음보살 입상을 모셨다. 강단이 마련되어
있고 음향 및 비디오 방영 시설도 완비되어 있다.
반
야림 – 참선방으로 쓰도록 바닥은 마루식으로 하여 100여명까지의 참선이
가능하다.
제1교실 – 소규모의 모임 (40-50명) 및 강연이 가능하고 65인치 TV가 겸비된 영상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관음전에 붙어 있어 공연시 준비교실로도 쓰인다.
제 2교실 – 좀더 작은 교실로 작은 모임이나
(10-20명) 회의용으로 쓰거나 유아방으로도 쓸 수 있다.

[관음전내에 모셔진
관세음보살 입상]

[보원 관음전내
일요법회]

[보원 관음전 현판과
외부 전경]

[반야림 내부]

[미국기,
불기, 태극기 3기 게양대]
[2010년 9월 30일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