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흥-멋

2011.05.01 22:49

현성 Views:6150

5월7일 제5회 불타예술제 끝맺음을 진도 아리랑으로 장엄하려 한다.

우리나라의 민요에서 보이는 가락이나 흥 그리고 멋에서 우리 민족의 수준 높은 가락과 흥을 즐길 줄 아는 정서 그리고 걸림 없는 멋이 있음을 볼 수 있고 느낄 수 있다. 그 가사는 이러하다.

 

[진도 아리랑]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 - -/ 아-리랑 음 - - 아라리가 –났네/

청천 하늘엔 잔별 –도 많고 / 이내 - - 가 –슴엔 기 –쁨 –도 많다/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 - -/ 아-리랑 음 - - 아라리가 –났네/

가지 많은 –나무 –에 바람 잘 –날 없고 –/ 자식 많은 우리 부모 속편할 날 –없더라 –/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 - -/ 아-리랑 음 - - 아라리가 –났네/

치어라 –보아라 –만학 –은 –천봉 –/ 내려다 –굽어보니 백사지 –로 구나/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 - -/ 아-리랑 –쓰리쓰 –리랑 아라리가 –났네/

 

가락은 예쁘고, 흥은 부드러우며, 멋에는 힘이 넘친다. 이러한 가락은 상(傷)한 기분을 지워버리게 해 흥을 돋우게 한다. 흥은 체증을 훤히 뚫리게 해 시원하게 하는 멋이 있다. 멋은 너와 나의 간격을 허물어지게 해 하나로 어우러지게 하는 묘한 힘이다.

우리 조상들은 즐거울 때나 어려울 때나 이러한 가락으로 어려움을 해소하고 흥을 돋우어 희망을 세우는 힘이 있었다. 후렴 사이의 가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해왔다고 생각된다.

 

부처님오신날 부처님과 만 중생들에게 음성공양(音聲供養)을 올리기 위해 열심히 연습하시는 불타사 합창단원님들, 염불을 주도하시는 스님들, 보살님들과 더불어 민요에서 보이는 불교적인 향(香)을 새겨 보고자 한다.

가락의 예쁨, 아름다운 소리는 열심히 연습해 음률을 예쁘게 장단에 맞게 할 수 있겠지만 불교적인 예쁨이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를 더 수련해야 한다. 그 예쁨은 화가 없는 마음에서 나오는 소리, 싫음과 두려움이 없는 마음에서 나오는 소리, 순수한 마음, 안온한 마음, 즉 예쁜 마음의 표출에서 보이는 예쁨이다.

화가 없는 마음, 두려움이 없는 마음은 탐욕이 없는 마음의 결과이다. 탐욕이 있는 한, 화와 두려움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으로 탐욕이 없으면서도 풍요를 즐길 수 있는 이치가 있음을 아는 마음이다. 탐욕심이 없으면서도 가져야 할 것은 다 가지고 있는 마음을 무소득심(無所得心)이라 했다. 풍요로운 무소득심에서 나오는 소리가 위없이 예쁘고 흥에 넘치는 소리이다. 바로 무소득심즉불성(無所得心卽佛性), 부처님의 성품인 우리들의 참 마음에서 나오는 예쁜 소리이다.

 

염불 수행하는 스님이나 보살들 그리고 합창단원들이 이와 같이 예쁜 마음에서 예쁜 음성을 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들을 볼 때마다 무한한 기쁨을 느낀다. 왜냐 하면 그 예쁜 음성에는 흥이 저절로 묻어나고, 그 흥에는 ‘내 불성이 움직이고 있다는 기쁨’과 동시에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어 풍요를 즐길 수 있는 지혜의 눈이 열리는 기쁨’이 있기 때문이다.

음성(音聲)공양 수련을 이와 같이 할 때, 가없는 자성(自性)을 보는 기쁨이 있고, 모든 중생과 더불어 기뻐할 수 있는 연(緣)을 짓는 공덕이 있다.

금강경 제26품에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만일 육체적인 모습에서 ‘나’를 보려하거나, 음성(音聲)에서 나를 보려하는 사람은 잘못된 길로 가는 것이니 결코 여래(如來)를 볼 수 없으리라.”고 하신 말씀의 뜻이다. 즉 사생활을 무질서하게 하고 화내는 마음을 다스리려하지 않고 음성만 장단에 예쁘게 맞추려는 사람들을 경계하는 말씀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무소득심에서 예쁘게 부르고자 하는 모습과 음성 그 자체가 바로 여래심(如來心)이라는 뜻이다.

 

소리는 불교에서 신구의(身口意 몸 입 뜻) 삼업(三業) 가운데 구업(口業)에 속한다. 소리를 잘 다스리고자 하는 마음은 곧 몸을 잘 다스리고자 하는 마음이 되고, 몸을 잘 다스리고자 하는 마음은 곧 마음을 잘 다스리고자 하는 마음이 됨으로, 소리에서 비롯하여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을 잘 지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오게 된다.

소리를 잘 다스리고자 하는 사람에게 탐욕심을 내려놓고자 하는 마음이 일어나게 되면, 화기가 사라지고 모든 생명들과 더불어 하나가 되고자 하는 마음이 일어나게 되어, 있는 그대로 만족할 수 있는 지혜의 눈, 창조의 눈이 열리게 되어 더불어 풍요를 즐기게 된다. 이 눈은 바로 무소득심(無所得心)에서 나오는 지혜의 눈이기에 일체 존재들과 화목하게 나누는 기쁨을 더해주게 된다.

 

한국 민요의 근본은 무소득심에 있고, 무소득심은 풍요를 즐기는 예쁜 가락을, 예쁜 가락은 부드러운 흥을, 부드러운 흥은 모든 것을 다 일궈낼 수 있는 지혜로운 멋을 우리들 마음에 스며들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바로 한국 민요에서 느낄 수 있는 불교적 향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시카고 불타사 주지 현성 합장

2011.5.1.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158 불교에서 보는 자유와 평화 현성 2012.03.28 5980
157 관세음(觀世音) 현성 2011.12.28 6168
156 지금 내가 죽는다면 현성 2011.12.26 6646
155 운명(運命)함을 지켜보며 현성 2011.11.24 6756
154 보시하고 싶은 마음 현성 2011.11.16 5979
153 내가 먼저 미소를 띠우자. 현성 2011.10.17 6055
152 삶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 현성 2011.09.06 5925
151 포대화상과 불교의 멋과 맛 현성 2011.07.05 6866
150 건성으로 사는 인생 현성 2011.06.13 6000
149 참회(懺悔) 현성 2011.05.17 7145
» 가락-흥-멋 file 현성 2011.05.01 6150
147 미국(美國, America)? 현성 2011.04.18 5993
146 죽음의 본성(本性) 현성 2011.03.28 7245
145 사랑의 씨앗 현성 2011.03.06 7141
144 송경(誦經)과 간경(看經) 현성 2011.02.20 8355
143 읽어버린 사랑 현성 2011.02.07 6736
142 가정의 내홍과 사회폭력 현성 2011.01.17 6703
141 무궁화와 보시 현성 2011.01.10 5880
140 신묘년을 맞이하여 현성 2010.12.29 6464
139 나는 숨을 쉰다 현성 2010.12.26 7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