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第十五  (경을 수지하는 공덕)

須菩提 若有善男子 善女人 初日分 以恒河沙等身 布施 中日分 復以恒河沙等身 布施 後日分 亦以恒河沙等身 布施 如是無量百千萬億劫 以身布施 若復有人 聞此經典 信心不逆 其福 勝彼 何況書寫受持讀誦 爲人解說 須菩提 以要言之 是經 有不可思議 不可稱量無邊功德 如來 爲發大乘者說 爲發最上乘者說 若有人 能受持讀誦 廣爲人說 如來 悉知是人 悉見是人 皆得成就不可量不可稱 無有邊 不可思議功德 如是人等 卽爲荷擔如來 阿耨多羅三藐三菩提 何以故 須菩提 若樂小法者 着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卽於此經 不能聽受讀誦 爲人解說 須菩提 在在處處 若有此經 一切世間天人 阿修羅 所應供養 當知此處 卽爲是塔 皆應恭敬 作禮圍繞 以諸華香 而山其處

“수보리야, 만일 착한 남자나 착한 여인이 아침에 항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남을 위하여 보시하고 , 낮에 다시 항하 모래 수만큼의 몸으로 남을 위하여 베풀고, 저녁에 또 항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와 같이 무량한 백천만억 겁을 몸으로써 보시할지라도,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이 거슬리지 않으면 그 복이 앞의 복보다 수승하리니, 어찌 하물며, 이 경을 쓰고 읽고 외우고 이해하고 행하고 또 다른 사람을 위해 해설해 줌이겠는가.

수보리야, 요약해서 말하자면 이 경은 가히 생각할 수 없고, 가히 헤아릴 수 없는 끝없는 공덕을 가졌느니라.

여래는 대승심을 발한 이를 위하여 (이 경을) 설하며 최상승심을 발한 이를 위하여 설하느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수지 독송하여 널리 다른 사람을 위해 설한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알며, 이 사람을 모두 보아서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며 가없고 생각할 수 없는 공덕을 모두 성취하게 되리니, 이와 같은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짐이 되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일 작은 법을 즐기는 자는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에 집착하므로 곧 이 경을 능히 듣고 이해하고 읽고 외워 다른 사람을 위해 해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어느 곳이든지 만일 이 경이 있으면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가 응당히 공양하리니 마땅히 알라. 이 곳은 곧 탑이 되기 때문에 모두가 응당히 공경하며 예배하고 에워싸서 여러 가지 꽃과 향으로써 그 곳에 뿌리리라.”


須菩提 若有善男子 善女人 初日分 以恒河沙等身 布施 中日分 復以恒河沙等身 布施 後日分 亦以恒河沙等身 布施 如是無量百千萬億劫 以身布施 若復有人 聞此經典 信心不逆 其福 勝彼 何況書寫受持讀誦 爲人解說

“수보리야, 만일 착한 남자나 착한 여인이 아침에 항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남을 위하여 보시하고 , 낮에 다시 항하 모래 수만큼의 몸으로 남을 위하여 베풀고, 저녁에 또 항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는 것을 하루 이틀이나 일생(一生) 이생(二生)뿐 만이 아니라 무량한 백천만억 겁을 두고 한다고 할지라도,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이 거슬리지 않으면 이 사람이 받는 복이 앞의 복보다 수승하다. 어찌 하물며, 이 경을 쓰고 이해하고 행하고 읽고 외워서 다른 사람을 위해 해설해 주는 공덕은 얼마나 많겠는가.


「이 경을 듣고 믿는 마음이 거슬리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사상(四相)이 나지 않는다는 말이고, 사상이 나지 않으면 곧 부처님의 지견(知見)이 되는 것이다. 부처님의 지견이 되는 까닭에 이 사람의 공덕은 앞의 다겁 생에 몸을 버린 공덕이 수승하나 아직 능소(能所)를 버리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 경을 듣고 믿는 마음이 거슬리지 않는 이가 수승하다고 한 것이다. 일념으로 이 경을 들어도 그 복이 이와 같이 많은데 하물며 다시 능히 베기고 읽고 외우고 이해하고 행하고 또 다른 사람에게 해설해 주는 복덕이 얼마나 많겠는가. 이 사람은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할 것이다. 여러 가지 방편으로 이와 같이 심히 깊은 경전을 설하여 이로 하여금 모든 상을 여의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하시니 얻은 공덕이 끊임없는 것이다.

대개 다겁토록 몸을 버리고도 모든 상이 본래 공(空)함을 깨닫지 못하면 능사(能捨: 버리는자)와 소사(所捨: 버릴 것)의 마음이 있는 것이므로 원래 중생의 견해를 여의지 못한 것이지만, 능히 경을 듣고 도(道)를 깨달아 아(我)와 인(人)이 단번에 없어질 것 같으면 바로 곧 부처인 것이다. 저 몸을 버린 유루(有漏)의 복을 가지고, 경을 수지한 무루(無漏)의 지혜에 비교한다면 실로 미칠 수 없는 것이니, 비록 시방(十方) 세계의 보배덩이와 삼세(三世)의 몸을 버리더라도 이 경전 사구게(四句偈)만이라도 수지한 것만 같지 못한 것이다.


須菩提 以要言之 是經 有不可思議 不可稱量無邊功德

수보리야, 요약해서 말하자면 이 경은 가히 생각할 수 없고, 가히 헤아릴 수 없는 끝없는 공덕을 가졌느니라.


경을 수지한 사람은 마음에 아소(我所: 내것이라는 것)가 없으니, 아소(我所)가 없기 때문에 곧 이것이 부처의 마음이다. 불심공덕(佛心功德)이 끝이 없기 때문에 칭량할 수 없다고 한 것이다. 근기 하열한 자로는 사의(思議)할 바가 못 되며 칭량할 바가 못 되며 끝 할 바도 못됨이니 만약 능히 이 법문에 밝으면 곧 성품을 보아 부처를 이룰 것이다. 그러므로 공덕을 성취해도 이 같은 불가사의, 불가칭량인 불(佛) 공덕을 성취하는 것이다.

불가사의(不可思議)란 어떤 것인가? 이치가 둥글고 도가 극함이니 몸이 몸 아님으로 몸을 삼고, 반야가 반야 아님으로 반야를 삼고, 소유가 소유 아님으로 소유를 삼으니 불가사의라 하는 것이다.  

불가칭량(不可稱量)이란 어떤 것인가? 말이 끊어지고 마음이 다함이니 유(有)와 무(無)가 망하고 수(數)와 량(量)이 망하고, 악법과 선법이 망하고 불과 중생이 망함이니 불가 칭량이라 하는 것이다.

또 무변(無邊)이란 어떤 것인가? 안과 밖이 텅 비어 끝과 그침이 없으니 마법(魔法)이 없으며, 외도(外道)가 없으며, 세법(世法)이 없으며, 십악(十惡)이 없음이다. 이것이 없을 때 십선(十善)도 출세법(出世法) 정법(定法)도 부정법(不定法)도 또한 없이 양쪽과 중간이 공하였음이니 무변(無邊)이다.

또 공덕(功德)이란 무엇인가? 내가 불이요 불이 나인 이 진리를 닦고 쌓아서 이제 닦을 것도 쌓을 것도 없으니 이것을 공(功)이라고 하고, 이 진리를 응용하여 혹은 중생변(衆生邊)에 혹은 부처변에 임의롭되 물들지 않으니 이것은 덕(德)인 것이다.


如來 爲發大乘者說 爲發最上乘者說

여래는 대승심을 발한 이를 위하여 (금강경을)설하며 최상승심을 발한 이를 위하여 (금강경을)설하느니라.


대승이나 최상승이란 소승과 중승에 대한 말이다.

소승(小乘)이란 스스로 깨친 주견이 없이 상대방의 상(相)에 집착하는 근성을 가진 사람으로 풍체 좋은 사람이 그를 듯한 언설로 참선이나 염불이나 송주(誦呪)를 이렇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가정하면 이 사람 말을 듣고 이리 끌리며, 저 사람 말을 듣고 저리 끌리는 이를 소승인(小乘人)이라고 한다. 이러한 사람은 상대의 상(相)에 따라 좌우되는 사람이다.

중승(中乘)이란, 아상(我相)이 높은 사람으로 스스로 깨침이 없기 때문에 자기가 삿되게 알면서도 삿된 줄 모르고 자기가 아는 것에 완강하게 집착하여 용왕매진(勇往邁進)하는 자를 중승인(中乘人)이라고 한다.

대승(大乘)이란, 한 번 봄에 스스로 집착하고 있음을 능히 알고 놓으며, 한 번 들음에 천 가지 그름을 능히 깨달아서 정법(正法)을 수행함에 가없는 곳에서 널리 운전할 수 있는 사람을 대승인(大乘人)이라고 한다.

최상승(最上乘)이란, 해도 함이 없고 초연(超然)히 끝도 없고, 걸림도 없어서 법상(法相)을 여의어 쇄연(灑然)히 집착함이 없어서 수행을 하지 않음에서 본래가 참선이요 본래가 염불이요 본래가 송주(誦呪)임이 최상승인(最上乘人)의 일이다.

이 경은 자기 근성을 깨달음 없이 주견이 박약하여 이리 끌렸다 저리 끌렸다 하는 소승 근기거나 확철한 각오가 없이 삿된 지견을 고집하여 실은 외도를 짓는 중승 근기에게는 가당치 않기 때문에 여래께서 이들을 위하여 이 경을 설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이 경은 적어도 심성이 박약하지도 않고 우악한 고집도 없어서 한 번 들음에 능히 길을 찾고 한번 봄에 능히 착을 버리어 변두리 없는 깨끗한 마음 능히 운전할 줄 아는 대승 근기거나 그렇지 아니하면 본래 없음이 없고 본래 얻음이 없어서 상이 없으며, 씻은 듯이 착이 없는 이러한 최상승 근기가 아니면 여래께서 이 경을 설하시지 않았다는 것이다. 왜냐 하면 이 경은 본래 여래께서 대승을 발한 자나 최상승을 발한 자를 위하여 말씀하신 까닭이다. 그러므로 만약 누구든지 능히 이 경을 읽고 외우고 이해하고 행할 줄 알면 곧 대승자요 최상승자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누구든지 능히 수지 독송하여 남을 위하여 널리 풀어 말할 수 있도록 되었으면 곧 내가 불이요 불이 나인 이치를 알아서 여래를 얻을 줄 알며, 볼 줄 아는 자이니 이러한 사람이야 말로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끝 할 수 없고 사의할 수 없는 공덕을 성취함이라 할 수 밖에 없다.    

대승(大乘)이란 지혜가 광대해서 능히 일체법을 잘 세우는 것이고, 최상승(最上乘)이란 더러운 법도 가히 싫어하지 않고, 깨끗한 법도 구하지 않으며, 중생 가히 제도할 것이 없고, 열반 가히 증득할 것이 없으며, 중생을 제도할 마음도 갖지 않고, 또한 중생을 제도하지 않겠다는 마음도 갖지 않는 것이니 이것을 ‘최상승’이라 하며 또한 ‘일체지(一切智)’라 하며, 또한 ‘무생인(無生忍)’이라 하며, 또한 ‘대반야(大般若)’라 한다.

어떤 사람이 발심하여 무상도(無上道)를 구하려면 이 무상(無相)∙무위(無爲)의 심히 깊은 법을 듣고, 들은 후엔 곧바로 신해수지(信解受持)하여 사람을 위해 해설하고 그로 하여금 깊이 깨닫게 하여 훼방하지 않아서, 대인력(大忍力)과 대지혜력(大智慧力)과 대방편력(大方便力)을 얻게 하면 바로 능히 이 경을 유통(流通)함이 되리라.


若有人 能受持讀誦 廣爲人說 如來 悉知是人 悉見是人 皆得成就不可量不可稱 無有邊 不可思議功德 如是人等 卽爲荷擔如來 阿耨多羅三藐三菩提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수지독송하여 널리 다른 사람을 위해 설한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알며, 이 사람을 모두 보아서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며 가없고 생각할 수 없는 공덕을 모두 성취하게 되리니, 이와 같은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짐이(지니는 것이 된다) 되느니라.


경을 듣고 뜻을 이해하여 가르침과 같이 수행하고, 다시 능히 널리 다른 사람을 위하여 설해서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무상(無相)∙무착(無著)의 행을 수행해 깨달음을 얻게 한다. 능히 이런 행을 행하면 곧 대 지혜 광명이 있게 되어 근심 걱정에서 벗어나게 된다. 근심 걱정을 여의었으나 근심 걱정을 여읜지도 알지 못하면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지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하여 ‘하담여래(荷擔如來)’라 한 것이다. 마땅히 알라. 경을 이해하고 행하는 사람은 스스로 무량∙무변∙불가사이한 공덕이 있는 것이다.

상근기의 사람은 이 깊은 경전을 듣고 부처님의 뜻을 깨달아 스스로 마음의 경을 이해하고 행하여 마침내 견성(見性)하고, 다시 능히 이타(利他)의 행을 일으켜 다른 사람을 위해 해설하여 모든 배우는 자로 하여금 스스로 무상(無相)의 이치를 깨달아 본성여래(本性如來)를 보아 무상의 도를 성취하게 하니, 수지독송(受持讀誦)은 자리(自利)요 광위인설(廣爲人說)은 이타(利他)이다. 수지독송(受持讀誦)은 상구보리(上求菩提)요 광위인설(廣爲人說)은 하화중생(下化衆生)이다. 이와 같이 상구보리 하화중생하기 위하여 『금강경』을 설법하는 사람의 얻는 공덕은 끝이 없어서 가히 헤아릴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즉 전도사(傳道師)의 공덕을 찬양하시는 것이다.

사상(四相)이 공하고, 사상견(四相見)이 공하고 함이 없는 불심(佛心)이 들어났음에 곧 불(佛)이 나요, 내가 불인 것이다. 이들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항상 이 사람들의 어깨와 등에 짊어져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何以故 須菩提 若樂小法者 着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卽於此經 不能聽受讀誦 爲人解說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일 작은 법을 즐기는 자는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을 집착하므로 곧 이 경을 능히 듣고 이해하고 읽고 외워 다른 사람을 위해 해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소법(小法)이라는 것은 근기 하열한 사람이 좋아하는 법, 즉 소승법(小乘法)과 중승법(中乘法)이다. 이 구절에 아인중생수자에 있어 사상(四相)을 말씀하시지 않고 사견(四見)을 말씀하시고 있다. 즉 네 가지 지견(知見)이다. 사상(四相) 각각에 대하여 소승적이고 중승적인 분별을 내어 사상 법견(法見)을 지음인 것이다.

「작은 법을 즐긴다」는 것은 이승인(二乘人)이 작은 과(果)를 즐겨 큰마음을 발하지 못하는 것이니, 큰마음을 발하지 못하는 까닭에 곧 여래의 깊은 법을 능히 수지 독송해서 다른 사람들을 위해 해설하지 못하는 것이다.

내가 불이요 불이 나인 공덕을 성취한 사람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짐인 것이다. 말하자면 이 사람은 사상(四相)이 공하고 사상지견이 공하여서 함이 없는 불심이 들어났으므로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이 사람인 것이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항상 이 사람에게 부담돼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소승법(小乘法)을 즐기는 자는 사상(四相) 말함을 듣고 근기(根器)가 작고 마음이 공(空)하지 못한 탓으로 사상에 대한 자기 의견을 내고, 사상이 공함을 듣고 사상이 공한 것에 대한 자기 의견을 내나니 곧 아견과 인견과 중생견과 수자견을 내어 그기에 착함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기 견해에 집착하는 사람은 최상승 경전이 이해되지 않아 독송해지지 않는 것이다. 이해하고 독송할 수 없으니 남을 위하여 해설하는 것은 더욱 할 수 없는 것이다.

이 까닭에 여래 말씀이 「수보리야 불가사의 공덕을 성취한 사람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짐이니 여래가 다 알고 다 본다」하셨다. 여래가 다 알고 다 보시게 됨은 사상이 공한 까닭이요, 사상이 공하다 함은 사상의 지견이 없음을 말함이다. 이러하니 사상지견이 공치 못한 사람이 이러한 사상지견이 공한 이 경을 듣고 이해할 리가 없고, 더욱이 남을 위하여 풀어서 말할 능력이 있을 리 없다고 하는 것이다.


須菩提 在在處處 若有此經 一切世間天人 阿修羅 所應供養 當知此處 卽爲是塔 皆應恭敬 作禮圍繞 以諸華香 而散其處

수보리야, 어느 곳이든지 만일 이 경이 있으면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가 응당히 공양하리니 마땅히 알라. 이 곳은 곧 탑이 되기 때문에 모두가 응당히 공경하며 예배하고 에워싸서 여러 가지 꽃과 향으로써 그 곳에 뿌리리라.”


공양은 중생이 부처님께 몸과 마음을 그리고 물건을 봉헌하므로 써, 정성을 보이는 것이고, 꽃과 향은 불(佛)을 공경찬탄함이 지극하여 자기네의 아름답고  맑고 깨끗한 몸과 마음의 향기가 이 꽃과 향으로 변하게 하여 올리는 물건이다.

왜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 경이 있는 곳마다 일체 세간 천인 아수라가 응당 공양을 올리는 바가 되고 이 경이 있는 곳은 곧 탑이 되어 모든 이가 공경(恭敬)하고 작례위요하며 꽃과 향으로 장엄한다고 하시는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 하면 부처님께서 이 『금강경』과 불탑(佛塔)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계시기 때문이다.

『금강경』과 불탑과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부처님에는 법신불 보신불 화신불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법신불을 청정법신비로자나불이라고 하였고 보신불을 원만보신노사나불이라고 하였으며 화신불을 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이라고 하였다. 이 세 부처님이 각각 존재하신다고 보시는 분도 있겠지만 이 세 부처님의 관계는 이러하다.

화신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보신불이 되었기 때문이요 보신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법신불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화신불의 근본은 보신불이요 보신불의 근본은 법신불이다. 법신불은 그 자체가 우주의 진리이기 때문에 우주에 충만하고 모든 존재의 생과 멸의 근본이 되면서도 그 자체는 불생불멸의 자리인 것이다.

우리들의 생활 수준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어떤 사람이 선한 일을 많이 하면 선한 과보를 받고 악한 일을 많이 하면 악한 과보를 받는다. 이 때 선한 일을 많이 하는 사람의 마음에 선한 종자가 강하기 때문이고 악한 일을 많이 하는 사람의 마음에는 악한 종자가 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선한 과보의 근본은 선한 마음이고 악한 과보의 근본은 악한 마음이라고 하는 것에 비유된다. 선한 과보를 받은 사람이 더욱 발심하여 선한 일을 열심히 하다보면, 배 고픈 사람에게는 밥이 되어 공양하고, 병든 이에게는 약이 되어 공양하고, 외로운 사람들에게는 친구되어 구제하고, 물에 빠진 자에게는 배가 되어 구제하고, 이와 같이 중생의 부름에 응하여 자재롭게 화하여 나투실 때 화신이라고 한다.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수많은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하시고자 필요에 응하여 화신으로 나투셨기 때문에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화신불로서의 석가모니부처님이 되실 수 있었던 것은 몸과 마음을 다 바치는 처절한 수행의 결과로 모든 마군을 항복 받는 보신불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만보신노사나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청정법신비로자나불이 상주하고 계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금강경』에서 사상(四相)을 여의라, 사견(四見)을 여의라, 집착을 여의라고 하는 것은 이들을 여의야 법신불에 접할 수 있고 법신불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법신불이 존재하시는 모습 아닌 모습을 설하고 계시는 것이다.

이러한 법신불이 존재하시는 모습에 접하고 볼 수 있기를 원하면 소승인(小乘人)이나 중승인(中乘人)의 경지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니 최소한 대승인(大乘人)이 되고 나아가 최상승인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시는 것이다. 소승과 중승인을 면하고 대승과 최상승인이 되기 위해서는 사상(四相)과 사견(四見)을 여의야 하고 사상과 사견을 여의기 위해서는 『금강경』을 서사수지독송 위타인설하는 길 밖에 다른 길이 없다고 설하고 계신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법신불이 보신불이 되고 보신불이 화신불이 되어 중생을 자유자재로 구제하는 부처님이 되시는 법을 설하고 있으니 이 경은 곧 법신불이 상주하시는 곳이다. 이것은 마치 화신불인 석가모니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에 비유되는 것이니 이 경이 있는 곳에는 일체세간 천인 아수라들이 공양을 올리는 바가 되고 이 경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모신 탑과 같은 것을 마땅히 알라고 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경이 있는 곳은 탑이 있는 곳과 같이 모든 중생이 공경하고 작례위요하고 꽃과 향으로 장엄한다고 하신 것이다.  

누구나 만일 사상이나 사상지견이 없으면 여래법신이 법계에 충만한 것을 저절로 알아지는 것이다. 중생이 법신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사상지견이 있음이다. 사상지견만 없으면 우주삼라만상이 다 법신인줄 알 것이며 자기도 법신인줄 알 것이다.

그러면 이와 같은 법신의 진리가 실려 있는 『금강경』은 곧 법신의 전체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까닭에 불(佛)께서 상주(常住) 법신과 이 경의 관계를 보이시기 위하여 수보리를 불러 말씀하신다.

「곳곳마다 어느 곳을 막론하고 만약에 항상 계신 법신의 진리가 온전히 나툼인 이 경이 있게 되면 이는 곧 법신불(法身佛)이 현신(現身)함과 같으니 법신(法身)은 본래 나툴 수 없는 것이지만 이 경으로 해서 나투어 지는 것이다. 이 일을 아는 자는 심히 드문 것이다. 범인(凡人)이나 열등(劣等) 중생은 도저히 알기 어려운 것이나 상근기 중생은 알 것이다. 이러한 이치를 깨달아 알기 때문에 일체세간의 몸과 마음과 물건을 아끼지 아니하고 공양 공경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곳은 상주 법신불(法身佛)이 현로(現露)하신 곳이기 때문이다. 부처님의 진불(眞佛), 진신사리가 계신 탑과 묘와 같다. 이러하므로 일체세간의 천인(天人)과 아수라가 공경하고 공양하므로 큰 절을 하는 것이요, 귀의함으로서 부처님을 둘러싸고 모든 꽃과 향기로 그 곳에 장엄할 것은 물론이다.」

만약 사람이 입으로 반야를 외우고 마음으로 반야를 행해서 어느 곳에서든지 항상 무위(無爲)∙무상(無相)의 행을 하면 이 사람이 있는 곳은 마치 부처님의 탑이 있음과 같아서 일체 인천(人天)이 각기 공양물을 가지고 예를 올려 공양하기를 부처님과 다름없이 하게 될 것이다. 능히 이 경을 수지하는 자는 이 사람의 마음 가운데 자기 세존이 있는 것이므로 부처님의 탑묘와 같다고 한 것이니,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지은 복이 무량부변하다.


대의(大意)

어떤 사람이 아침 점심 저녁 세 번 씩 항하강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몸으로 보시하고 또 이와 같은 보시를 하루 이틀도 아니고 일년 이년도 아니고 무량한 백천만억겁을 보시한다고 하더라도 그 공덕은 이 경전을 듣고 믿음이 그슬리지 않는 사람만 못하다. 왜냐하면 보시하는 사람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을 여의지 못하여 자기가 이 세상에서 가장 귀중한 생명을 보시했다는 상을 여의지 못한 탓이고 이 경전 설함을 듣고 믿음이 그슬리지 않는다는 말은 사상을 여읜 공덕이 무량함을 설하고 있는 이 경을 듣고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사상을 이미 여읜 사람이기 때문에 사상을 여읜 사람의 수행공덕이 사상을 아직 여의지 못한 사람의 수행공덕보다 월등히 수승하다고 설하고 계신다.

그러하니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쓰고 사경하고 읽고 외우고 이해하고 실천하고 또 남을 위하여 해설하여 준다면 그 공덕이 얼마나 크겠느냐? 이 경이 가지고 있는 공덕은 가히 생각으로 다 알 수 없고, 가히 그 량을 헤아려 잴 수도 없고 안과 밖이 없어 끝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소승(小乘)과 중승(中乘)의 근기를 가진 사람들이 알 수 있는 경지가 아니므로 여래께서 대승(大乘)을 발심한 사람이나 최상승(最上乘)을 발심한 사람에게 이 경을 설하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고로 어떤 사람이 이 경을 읽고 외우고 이해하고 실천하고 남을 위하여 널리 해설하여 준다면 여래께서 이러한 사람들이 성취하는 불가량(不可量) 불가칭(不可稱) 무유변(無有邊)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공덕을 다 알고 보고 계신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으지고 다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무위법(無爲法)을 알지 못하고 유위법(有爲法)을 좋아 하는 사람은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에 집착하게 된다. 아견(我見)이란 아상(我相)에 대한 자기 견해에 집착하는 것이고 인견(人見)이란 인상에 대한 자기 견해이다. 이와 같이 중생상 수자상에 대하여도 자기의 견해를 세워 고집하는 사람들이다. 자기 견해를 세워 고집하는 사람들이 자기 견해를 소멸하라고 설하는 『금강경』이 들일 리 없고 이해할 리 없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해설하여 줄 수도 없는 것이다.

법신불은 이 우주에 충만하여 계시지만 아상이나 아견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사견(邪見)에 가리어 법신불을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아상이나 아견을 여읜 사람에게는 이 우주에 충만한 법신불이 보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법신불을 볼 수 없는 사람으로 하여금 수행하여 법신불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금강경』이 설해진 것이므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법신불을 우리들의 육안으로 법신불을 접할 수 있게 한 것이 『금강경』이므로 『금강경』이 있는 곳에는 일체 세간 천인 아수라가 공양올린다. 그것은 이 『금강경』이 있는 곳은 마치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과 같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공경하고 주위를 에워싸고 예를 올리며 모든 꽃과 향을 뿌려 장엄한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 The Diamond Prajnaparamita Sutra / Translation and Commentary (hwp, pdf) file 현성 2011.11.12 12172
36 [금강경] 목차 및 원문(한글해설) file 여해 2007.03.01 34459
35 [금강경]2.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第三十二 (응화는 참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5575
34 [금강경]2.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第三十一 (자기 소견을 내지 않음) 여해 2007.03.01 12355
33 [금강경]2.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第三十 (하나로 합하는 이치의 모양) 여해 2007.03.01 13081
32 [금강경]2.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第二十九 (위의가 적정하다) 여해 2007.03.01 12595
31 [금강경]2.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다) 여해 2007.03.01 12365
30 [금강경]2.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을 것도 없고 멸할 것도 없다) 여해 2007.03.01 13125
29 [금강경]2.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은 상에 있는 것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1553
28 [금강경]2.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第二十五 (교화해도 교화를 받은 자가 없다) 여해 2007.03.01 11440
27 [금강경]2.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第二十四 (복덕과 지혜에 비교할 수 없다) 여해 2007.03.01 11699
26 [금강경]2.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第二十三 (청정한 마음으로 선(善)을 행하다) 여해 2007.03.01 12104
25 [금강경]2.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第二十二 (가이 얻을 법은 없다) 여해 2007.03.01 12204
24 [금강경]2.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第二十一 (설함 없이 설한다) 여해 2007.03.01 11378
23 [금강경]2.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第二十 (색과 상을 여의다) 여해 2007.03.01 12321
22 [금강경]2.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다 교화하다) 여해 2007.03.01 11995
21 [금강경]2.18 일체통관분(一體同觀分) 第十八 (일체를 동일하게 보다) 여해 2007.03.01 12794
20 [금강경]2.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第十七 (구경에는 내가 없다) 여해 2007.03.01 12501
19 [금강경]2.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第十六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하다) 여해 2007.03.01 12705
» [금강경]2.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第十五 (경을 수지한 공덕) 여해 2007.03.01 12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