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통관분(一體同觀分) 第十八  (일체를 동일하게 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肉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肉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天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天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慧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慧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法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法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佛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佛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 世尊 如來說是沙 須菩提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 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所有沙數 佛世界如是 寧爲多不 甚多 世尊 佛告須菩提 爾所國土中 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何以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所以者何 須菩提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천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혜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법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불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저 항하강 가운데 있는 모래를 부처님이 설한 적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그 모래를 말씀하셨나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저 한 항하강 가운데 있는 모래 수만큼 많은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 수만큼의 부처님 세계가 이와 같다면 얼마나 많다 하겠느냐?"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기를, "저 국토 가운데 있는 바 중생의 여러가지 마음을 다 아나니, 무슨 까닭이냐. 여래가 설한 모든 마음이 다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니라.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肉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肉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天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天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慧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慧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法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法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有佛眼不 如是 世尊 如來 有佛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천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혜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법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불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이 있나이다."


육안(肉眼)은 육체에 있는 눈이니 범부(凡夫)의 눈이다. 범부의 눈은 빛이 없어도 보지 못하고, 종이 한 장이 눈앞을 가려도 보지 못하고, 아주 아까운 것도 먼 것도 보지 못하는 눈이다.

천안(天眼)은 광명이 없어도 볼 수 있으며 눈앞을 가려도 볼 수 있고 멀고 가까운 것에 관계없이 볼 수 있는 눈이니 삼천대천세계를 두루 볼 수 있는 눈이다. 그래서 수보리가 여래께서는 삼천대천세계의 모든 존재를 손바닥 위에 있는 것처럼 볼 수 있습니다라고 대답한다.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란 태양계 천개를 합한 우주를 소천(小千) 세계라 하고, 이 소천세계를 천배한 우주를 중천(中千) 세계라 하고, 이 중천 세계를 천배한 우주를 대천세계(大千世界)라고 하는데 이 소천 중천 대천을 모두 합한 우주를 삼천대천세계라고 한다. 현대 과학에서 햇빛이 일년간 가는 거리를 일광년(一光年)이라고 하는데 몇만광년을 가도 우주의 끝이 없다고 하니 2500년 전에 부처님께서 천안(天眼)으로 보신 우주가 가히 놀랍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부처님과 같이 삼천대천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눈은 아니더라도 천안이 발달한 스님이나 선비들은 많이 있었던 것 같다. 현대사회에 와서 공해가 심하고 비행기 등 소음과 각종 전파로 말미암아 자연적인 천안에 장애요인이 많은 것 같다.  

부처님께서 천안으로 지옥 아귀 축생 인간 아수라 천상에 살고 있는 모든 중생의 생활하는 모습을 관찰하시고 모든 중생은 고통 속에 살고 있다고 하시고 그 고통의 원인을 찾아 가기 위하여 숙명통으로 중생의 과거 생을 찾아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혜안(慧眼)은 어리석음이 사라지고 모든 존재가 연기하는 모습을 비춰보는 눈이니 이를 반야지라고 한다. 세속 법을 능히 볼 수 있는 눈이다. 중생의 고통은 연기법에 어긋나는 짓을 함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내가 남보다 잘나야 하고 내가 남보다 잘 살아야 하고 내가 남보다 높은 지위에 있어야한다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하는 모든 업은 연기법에 어긋나는 짓이다. 연기법은 너와 내가 동시에 서로 의존하여 존재한다는 이치이므로 내가 남보다 잘날 수도 없고 못날 수도 없다. 일체 만유가 평등하다는 이치이고 사유(私有)를 인정하면서도 공유(共有)를 중요시하고 공유를 원칙으로 하면서도 사유를 인정하는 법이 연기법이다. 요즈음 세상에 문제가 되는 것이 공유를 인정하지 않고 사유만 주장하는 이기심에서 인정이 매말어고 돈만 있는 세상이 되어가는 것이다. 돈도 있고 인정도 있는 세계를 볼 수 있는 눈이 반야지에 의한 혜안이다.

부처님께서 천안으로 중생이 살아가는 현상을 살피시고 중생은 고통 속에 빠져 있다고 하시고 그 원인을 찾기 위하여 숙명통으로 중생의 과거 생을 찾아 들어 갔다. 부처님께서는 늙고 병들고 죽음의 원인은 이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이며 태어남의 원인은 집착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며 그 원인의 원인을 찾아 들어가 마지막에 찾은 것이 무명(無明) 어리석음 이였다. 어리석음이란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서로 얽히고설키어 동시에 연기하는 법인데 그 이치를 알지 못하여 남을 위하기보다 자기 욕심을 먼저 채우려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임을 아시고 새벽 별 빛에 큰 깨침을 얻으신 것이다.

부부사이에 서로 연하여 살고 있는 이치를 알면 싸울 일이 없고 별거를 하거나 이혼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당신이 있음으로서 나의 존재 가치가 있는 것이니 모든 것을 다 바치겠다는데 싸울 일이 어디에 있겠는가.

연기하는 이치의 눈으로 사물을 보는 눈이 혜안이다.

법안(法眼)은 법의 실상 즉 공한 이치를 깨달아 모든 존재는 하나로 통하고 있음을 요달한 눈이다. 겉모양에서 내면세계를 볼 수 있는 눈이다. 현상적인 세계는 산하대지가 엄연히 존재하고 나도 있고 너도 있고 내 것도 있고 네 것도 있는 세계이다. 나도 있고 내 것이 있는 세계에서는 인간이 과욕을 부리는 세계가 되어 치부(致富)를 하고 남을 지배하는 현상이 생기고 남의 물건을 착취하는 현상도 생기게 되어 투쟁과 전쟁과 살생을 일삼는 무리들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무리들은 우주의 모든 현상은 하나의 체에서 일어나는 용임을 알지 못한 탓이라고 한다. 모든 뿌리는 동근(同根)이라는 뜻이다. 체에서 용을 쓰고 용에서 체를 인식하는 눈이 법안(法眼)이다. 이것을 실상반야라고 한다.

색에서 공을 보고 공에서 색을 볼 수 있는 눈이다. 공은 곧 실상이요 실상에 많은 지혜가 있기 때문에, 이 법안에서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 우리들의 생활을 보다 화목하고 편안하고 즐겁게 할 수 있는 아이디어 뱅크가 이 법안에 있다.

불안(佛眼)은 육안 천안 혜안 법안이 모두 불성(佛性)에서 비롯된 것임을 통달하고 중생에게 불성을 회향하는 눈이다. 불성이라 함은 실상체(實相體)이고 이 깨침을 자성 깨침 각성(覺性)이라고 한다. 실상의 체에서 오는 반야지혜로 중생을 고통에서 건지고 그들의 자성에 불성이 있음을 깨치게 하는 눈이다.


부처님께서 제17장에서 실무유법(實無有法)에 대한 이치를 여러번 반복하여 설명하시고 끝에 와서 보살은 무아법(無我法)에 통달할 것을 권하였다. 제18장에 와서 육안 천안 혜안 법안 불안 오안(五眼)을 논하시는데 제17장의 실무유법 혹은 무아법과 오안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제 9장에서 설한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의 계위에 들기 위해서는 수다원 정도에서 선정(禪定)에 들어야 한다. 선정에 들었다고 하는 것은 모든 번뇌를 끊어 정신이 맑아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정신이 맑아진 상태라는 것은 번뇌가 없고 너와 나의 분별이 없는 상태에 들어갔다는 말이다. 너와 나의 분별이 없는 상태를 『금강경』에서 능소가 없다고 하고 능소가 없어야만 사상(四相),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멸하고 실무유법을 증득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실무유법에 드는 것은 곧 무아법(無我法)이 되는 것이다.  

우리 범부의 육안에서 천안 혜안 법안 불안의 눈을 열기 위해서는 최소한 선정(禪定)의 정(定)의 관문을 통과해서 사선(四禪),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 금강유정(金剛喩定) 등 무한히 깊은 정에서 얻어지는 눈인데 실무유법(實無有法)에 입문(入門)하지 못하면 육안 이외 아무런 눈도 기대할 수 없음을 설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사람이 다 오안(五眼)이 있지만 미혹에 덮여서 능히 스스로 보지 못하므로 부처님께서 미한 마음을 제거하면 곧 5안이 뚜렷이 밝아져서 생각생각 반야바라밀법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르친 것이다. 처음의 미한 마음을 없애는 것을 육안이라 하고, 일체 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어서 연민의 마음을 일으키는 것을 천안이라 하며, 어리석은 마음이 나지 않는 것을 혜안이라 하고, 법에 집착한 마음을 없애는 것을 법안이라 하며, 미세한 번뇌까지 영원히 다하여 뚜렷이 밝게 두루 비추는 것을 불안이라 한다. 또 이르되 “색신(몸) 중에 법신이 있다고 여기는 것을 육안이라 하고, 일체 중생이 각각 반야의 성품을 갖추고 있다고 여기는 것을 천안이라 하며, 반야바라밀법이 능히 삼세의 일체법을 낸다고 여기는 것을 혜한이라 하고, 일체 불법이 본래 스스로 갖추어져 있다고 여기는 것을 법안이라 하며, 성품이 밝게 사무쳐서 능소를 영원히 없앤다고 여기는 것을 불안이라고 한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 世尊 如來說是沙 須菩提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所有沙數 佛世界如是 寧爲多不 甚多 世尊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저 항하강 가운데 있는 모래를 부처님이 설한 적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그 모래를 말씀하셨나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저 한 항하강 가운데 있는 모래만큼 많은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 수만큼의 부처님 세계가 있다면 얼마나 많다 하겠느냐?"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항하란 인도 기원정사 가까이에 있는 강이다. 여래께서 설법하심에 항상 이 강을 가리켜 비유하셨으니, 부처님께서 “이 강의 모래 하나로 하나의 불세계와 비유한다면 많다고 하겠는가”하시니, 수보리가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하였다. 부처님께서 이 많은 국토를 열거하신 것은 그 가운데 있는 중생의 낱낱 중생이 모두 그러한 마음이 있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항하강의 모래 수 만큼 많은 중생이 있고 중생 각각의 마음에 항하강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국토가 있다)


佛告須菩提 爾所國土中 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기를, "저 국토 가운데 있는바 중생의 여러 가지 마음을 다 아나니,


何以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무슨 까닭이냐. 여래가 설한 모든 마음이 다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니,


저 국토 가운데 있는 중생의 낱낱 중생이 다 약간의 차별된 마음의 심수(心數)가 있으니 심수가 비록 많으나 모두 망심이다. 망심이 마음 아닌 줄 알면 이것을 마음이라고 하니, 이 마음이 곧 진심(眞心)이며 항상하는 마음이며 불심(佛心)이며 반야바라밀심이며 청정보리열반심인 것이다.


所以者何 須菩提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느니라."


‘지나간 마음은 얻을 수 없다’란 앞생각의 망심이 문득 이미 지나감에 찾아봐도 그 처소가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라는 것은 진심(眞心)은 상이 없으니 무엇을 의지하여 보겠는가. 또한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란 본래 가히 얻을 것 없으므로 습기가 이미 다해서 다시 또 나지 않으니 이 세 가지 마음의 “불가득(不可得)”을 요달하면 이것을 부처라 한다.(허공계의 기점은 자기가 서 있는 그 자리가 기점, 시간의 기점은 내가 서 있는 이 시점이 기점이다.)


부처님께서 먼저 수보리에게 항하강의 모래 수를 부처님이 말한 적이 있느냐고 묻고 수보리가 그렇습니다고 답하였다.

그 다음에 항하강의 모래수 만큼 많은 항하강이 있고 그 많은 항하강에 있는 모래 수만큼 많은 부처님의 세계가 있다면 많다고 하겠느냐고 묻고 수보리가 많다고 대답하였다.

이와 같이 넓고 넓은 부처님의 국토에 사는 중생의 마음이 약간이라도 선악(善惡)의 마음을 심는다고 하더라도 여래는 모두 다 알고 있다고 하신다.

앞에서 법안(法眼)은 여래와 중생이 다르고 산과 들이 다르고 물과 불이 다르지만 그 내면 세계에서 보면 모두 하나로 통하는 이치를 보는 눈이라고 하였다. 마치 코와 입 손과 발이 다 다르지만 내면에서 보면 모두가 하나로 통하고 있는 것과 같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여래는 곧 아무리 넓은 국토 중에 있는 중생이라도 그 중생의 마음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한 항하강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항하강이 있고 그 많은 항하강의 모래 수만큼 많은 항하강의 모래수 만큼 많은 불세계가 있다고 할 때 이 항하강의 모래 수가 전개되는 불세계는 바로 부처님의 마음 안에 있다. 곧 부처님의 마음이 항하강의 모래 수만큼 넓고 넓은 것이고 그 불세계 안에 있는 중생의 마음이 움직이는 것을 여래는 다 아신다고 하시는 것이다. 부처님의 마음 안에서 모든 것이 통하지 않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비록 중생이 여래의 마음 움직임을 알 수 없지만 지혜 있는 중생은 다른 중생의 마음 움직임을 안다. 그것은 중생의 마음 움직임을 내면에서 보면 곧 중생의 망념의 움직임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모든 마음이란 중생의 마음에 가지고 있는 모든 망념이 없는 마음이니 망령된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이 되는 것이다.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마음은 모든 망념을 여읜 청정한 마음이고 청정한 마음은 모든 만물에 통하는 법안을 가진 마음이고 모든 만물이 구경에 돌아오는 마음이다. 이 청정한 마음이 이 장에서 설하고 있는 천안 혜안 법안 불안의 근본이 되는 마음이고, 제 17장에서 설한 실무소득(實無所得), 무아법(無我法), 실무유법(實無有法)의 마음이 곧 청정한 마음이다.

왜냐하면 이 구절에 이어서 과거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 현재심불가득(現在心不可得) 미래심불가득(未來心不可得)이기 때문이라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과거심(過去心) 현재심(現在心) 미래심(未來心)이 있는 것은 중생에게 생멸하는 망념이 있기 때문이다. 한 생각이 생할 때 시간이 시작하고 멸할 때 시간이 끝나기 때문에 한 생각이 일어나지 않으면 시간이 시작하지 않으며, 시작함이 없었기 때문에 끝남도 없다. 한 생각이 일어날 때 그 생각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가 있고, 한 생각이 일어나지 않으면 과거 현재 미래가 없다.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에 나의 과거 현재 미래가 있지만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으면 나의 과거 현재 미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의 한 생각이 일어나면 그 생각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는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났으면 나의 과거 현재 미래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의 찰나의 마음은 과거와 미래를 포섭(包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음이라는 것은 좁고 넓음이 한 없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이 사람은 인색하다고 하면 벌써 틀리는 것이다. 왜냐 하면 그에게 관대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사람이 관대하다고 해도 또 틀리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에게 인색함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과거심을 얻을 수 있다고 하면 얻을 수 없는 것도 있기 때문에 곧 틀리고 과거심을 얻을 수 없다고 하여도 또 틀리는 것이다. 왜냐하면 과거심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마음의 차이는 생멸심에 좁고 넓음의 차이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 부처님께서 항하강의 모래 수만큼 넓고 깊게 마음을 가져라고 하시는 것이다.  

그러나 나의 한 생각이 일어나지 않으면 일어나지 않은 생각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가 없고,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으면 태어나지 않은 나의 과거 현재 미래가 있을 수 없다. 일어나지 않은 생각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도 불가득이요, 태어나지 않은 나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도 불가득이다.  

그러면 불가득(不可得)한 마음이란 무엇인가? 청정한 마음이다. 청정한 마음은 한 생각이 일어났다 없어지는 생멸(生滅)하는 마음이 없는 마음이다. 생멸하는 마음이 없기 때문에 불생불멸의 마음이다. 불생불멸한 마음에는 시간의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 시작도 없고 끝이 없으므로 과거 현재 미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생불멸한 부처님의 마음은 과거심도 불가득이요 현재심도 불가득이요 미래심도 불가득이다. 왜냐하면 과거 현재 미래가 없는 여여함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곧 부처님의 마음이다. 이러한 이유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모든 마음은 마음이라고 할 수 없고 그 이름이 마음이라고 하였다.


옛날 덕산선감(德山宣鑒 780-865)은 일찍이 중이 되어 『금강경』 박사라 할 만큼 『금강경』에 관해서는 통달하고 있었다. 그래서 『금강경』에 관한 주석서라면 외우지 못하는 것이 없었다. 그는 걸핏하면 『금강경』을 들먹거렸으므로 자신의 법명도 ‘금강’이라 부르고 그의 속성을 따 ‘주금강’이란 별명까지 붙을 정도였다. 그러다 용담이라는 곳의 한 선사가 많은 제자들에게 깨달음의 눈을 열고 있다는 소문을 듣게 되자 그길로 『금강경』 해설집을 두 보따리나 꿰어 짊어지고는 길을 떠났다. ‘일자 무식꾼이라는 그 선사가 도대체 알기는 뭘 알아 가르친다는 건가’하는 괘씸한 마음을 가지고 길을 가는 도중에, 점심때가 되어 요깃거리를 찾는데 마침 떡 파는 노파를 만났다.

“할머니, 떡 좀 파시오” 그 말에 할머니는 싱긋이 웃으며 주금강 스님이 짊어지고 있는 봇짐에 눈길을 주면서 묻는다.
“그런데 당신이 짊어지고 있는 그 짐 속에는 무엇이 들었소?”
“아, 이것은 『금강경』과 각종 주석서라오.”
“그렇다면 정말 잘됐소. 나도 평소에 『금강경』을 읽으면서 의심나는 대목이 있었는데 스님이 대답을 해준다면 떡은 공짜로 드리리다. 하지만 스님이 대답을 못하면 돈을 준다고 해도 내 떡은 팔지 못하겠소.”하고 던진 질문은 이렇다.
“『금강경』에 과거심 불가득, 현재심 불가득, 미래심 불가득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스님께서는 어느 마음에 점을 찍으려하시오?”

이것은 당신이 점심(點心)을 하겠다고 하는데 도대체 어느 마음에 점을 찍겠다는 것인가의 물음이다. 점심요기를 마음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돌려 던진 선문답이다. 이 질문에 주금강은 순간적으로 말문이 막혔다. 수많은 주석서를 통달하다시피 줄줄 외우고 있다고 자부했던 그이건만 이와 같은 물음은 난생 처음이었고, 그러니 그에 대한 답은 알지도 못했던 것이다. 식은땀만 흘렸던 것이다. 용담 근처에서 만난 떡장수 할머니의 수준이 이만하다면 용담의 선사는 두말할 나위도 없으리라는 두려움이 일었지만, 점심도 먹지 못하고 말문이 막힌 체 가던 길을 재촉했다.

용담에 도착해서 앞서의 당혹감은 떨쳐버리고 고개를 뻣뻣이 세우며 스님을 찾아 첫마디를 던진다.

“용담(龍潭)에 와보니 용도 없고 담도 없구나.” 이에 용담 선사가 “아니다. 그대는 제대로 용담에 온 것이다”라고 답하니 주금강은 다시 말문이 막혔다. 주금강 스님은 용담의 선사 앞에서 자랑스레 자신이 알고 있는 『금강경』의 해박한 지식을 펼치게 된다. 물론 용담 선사는 밤이 깊도록 잠자코 들어주고 있었다. 이윽고 잠자리에 들기 위해 주금강이 촛불을 들고 방문을 나서는 순간, 옆에 있던 선사가 갑자기 촛불을 훅하며 꺼버렸다. 순식간에 온 천지가 깜깜해져 버렸다. 어두운 바깥에서 촛불만 들여다 보고 신발을 신으려던 주금강은 선사가 촛불을 불어 꺼버린 순간, 바로 그 때 한 생각을 깨닫게 된다.

다음날 아침 주금강 스님은 자신이 자랑스레 짊어지고 온 『금강경』 주석를 모조리 앞마당에 쌓아놓고 불을 지른다. 바로 이 분이 후에 큰 깨달음을 얻은 덕산스님이다.

덕산방! 그 유명한 덕산스님의 몽둥이는 덕산스님의 이러한 깨달음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한 소식을 얻은 후에 덕산스님은 누구든지 와서 법을 묻기만 하면 아무런 답도 없이 무조건 몽둥이를 후려치셨다. 그 몽두이가 지식에 사로잡히고 망념에 사로잡혀 있는 정신을 번쩍 들게 했던 것이다. 이를 가리켜 우리는 덕산 방이라 한다. 그래서 요즘도 질문을 던져 답이 제대로 나오지 않으면 ‘방망이 삼십대다’는 말이 있다. 이것은 몽둥이로 맞아야할 소식이라는 뜻으로 이렇게 말해도 맞고, 저렇게 말해도 몽둥이로 맞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생각이든지 한 생각을 일으키면 맞는다는 뜻이라고 하겠다. 지식 위주의 공부가 지나쳐서 깨달음에 방해가 되던 한 시대에 그것을 뛰어 넘는 교화방법으로 등장했던 것이 ‘덕산 방망이 임제 할’이었던 것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 The Diamond Prajnaparamita Sutra / Translation and Commentary (hwp, pdf) file 현성 2011.11.12 12154
36 [금강경] 목차 및 원문(한글해설) file 여해 2007.03.01 34338
35 [금강경]2.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第三十二 (응화는 참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5542
34 [금강경]2.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第三十一 (자기 소견을 내지 않음) 여해 2007.03.01 12313
33 [금강경]2.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第三十 (하나로 합하는 이치의 모양) 여해 2007.03.01 13024
32 [금강경]2.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第二十九 (위의가 적정하다) 여해 2007.03.01 12566
31 [금강경]2.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다) 여해 2007.03.01 12334
30 [금강경]2.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을 것도 없고 멸할 것도 없다) 여해 2007.03.01 13049
29 [금강경]2.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은 상에 있는 것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1517
28 [금강경]2.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第二十五 (교화해도 교화를 받은 자가 없다) 여해 2007.03.01 11423
27 [금강경]2.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第二十四 (복덕과 지혜에 비교할 수 없다) 여해 2007.03.01 11669
26 [금강경]2.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第二十三 (청정한 마음으로 선(善)을 행하다) 여해 2007.03.01 12070
25 [금강경]2.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第二十二 (가이 얻을 법은 없다) 여해 2007.03.01 12153
24 [금강경]2.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第二十一 (설함 없이 설한다) 여해 2007.03.01 11353
23 [금강경]2.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第二十 (색과 상을 여의다) 여해 2007.03.01 12303
22 [금강경]2.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다 교화하다) 여해 2007.03.01 11975
» [금강경]2.18 일체통관분(一體同觀分) 第十八 (일체를 동일하게 보다) 여해 2007.03.01 12755
20 [금강경]2.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第十七 (구경에는 내가 없다) 여해 2007.03.01 12493
19 [금강경]2.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第十六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하다) 여해 2007.03.01 12654
18 [금강경]2.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第十五 (경을 수지한 공덕) 여해 2007.03.01 12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