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第二十  (색과 상을 여의다)

須菩提 於意云何 佛 可以具足色身 見不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色身 見 何以故 如來說 具足色身 卽非具足色身 是名具足色身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可以具足諸相 見不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諸相 見 何以故 如來說諸相具足 卽非具足 是名諸相具足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부처를 가히 구족한 색신으로써 볼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구족한 색신으로써 도저히 볼 수 없나이다. 왜냐 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구족색신은 곧 구족색신이 아니라 그 이름이 구족색신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구족한 제상을 가히 볼 수 있겠느냐?"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가 구족한 모든 상을 도저히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모든 상의 구족은 곧 구족이 아니라 그 이름이 모든 상의 구족이기 때문입니다."


須菩提 於意云何 佛 可以具足色身 見不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色身 見 何以故 如來說 具足色身 卽非具足色身 是名具足色身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부처를 가히 구족한 색신으로써 볼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구족한 색신으로써 도저히 볼 수 없습니다.  왜냐 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구족한 색신은 곧 구족한 색신이 아니라 그 이름이 구족한 색신이기 때문입니다."


이 장에서도 중생심과 보살심을 설명하고 있다. 중생심은 부처님의 몸에 구족한 32상 80종호로서 부처를 삼지만 이는 마치 물 가운데 있는 달을 보고 진짜 달이라고 착각하는 것과 같다. 물 가운데 있는 달은 달이 아니라 그 이름이 달이라고 설하고 있다.

보살심은 부처님이 갖춘 32상 80종호를 보고 이는 부처님이 인행시에 눈으로 육바라밀을 닦고 귀 코 혀 몸으로도 각각 육바라밀을 닦으시고 의근(意根)으로 정과 혜를 함께 닦아 만 가지 청정행을 하나하나 원만히 쌓아 온 과보로서 이루어진 구족색신임을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족색신은 32청정행을 닦은 결과로 얻어진 보신불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 보신불을 여래의 진신(眞身)으로 삼으면 물 속에 달을 진짜 달로 삼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보살심은 이 보신불에 근본불이 있음을 능히 볼 수 있는 마음이다. 보신불의 근본은 법신불이고 법신이 진신(眞身)임을 아는지라 보신불이 갖춘 구족색신을 통하여 여래의 진신을 볼 수 있는 마음을 가진 보살이다. 물 속에 달을 보고 공중에 달이 있음을 알고 공중의 달을 볼 수 있는 마음이 보살심이다.

우리들 앞에 모셔져 있는 부처님은 수하항마상을 하고 계시는데 모든 마군을 항복받아 부처가 되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수많은 겁을 통하여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이므로 이 부처님은 보신불(報身佛)이다. 보신불을 진짜 부처로 보면 잘못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진짜부처는 법신불이고 법신불은 여여하여 항상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도 사람의 육체적인 모습을 보고 그 사람을 판단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예를 들면 그 사람이 뚱뚱해서 싫다든지 키가 커서 좋다든지 얼굴이 잘 생겨서 좋다든지 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것들을 보고 그 사람의 참된 모습을 봤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可以具足諸相 見不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諸相 見 何以故 如來說諸相具足 卽非具足 是名諸相具足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구족한 제상을 가히 볼 수 있겠느냐?"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가 구족한 모든 상을 도저히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모든 상의 구족은 곧 구족이 아니라 그 이름이 모든 상의 구족이기 때문입니다."


중생심은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는 마음이다. 이러한 사상(四相)이 있는 중생심이 육안으로 여래가 구족한 모든 상을 볼 수 있느냐고 묻고 수보리가 여래가 구족한 모든 상을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가 말씀하시는 모든 상의 구족은 곧 구족이 아니고 그 이름이 모든 상의 구족이라고 대답한다.

중생심은 육안으로 보이는 상으로서 여래를 삼기 때문에 여래의 진신(眞身)인  법신(法身)이 구족한 상(相)을 감히 볼 수 없다. 때문에, 중생심이 보는 여래가 구족한 상은 구족한 상이 아니라 그 이름이 구족한 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보살심은 혜안을 가지고 있으므로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등 사상을 이미 여읜 보살이다. 이러한 보살은 혜안으로 무상법신(無相法身)을 볼 수 있으므로 법신이 구족한 제상(諸相)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법신이 구족한 제상(諸相)을 법성(法性)이라고 한다.

법신이 구족한 제상(諸相) 또는 법성(法性)이라고 하는 것은 컴퓨터에 비교하면 software의 disk가 법신의 체에 해당하고 그 disk가 담고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제상(諸相) 또는 법성에 해당한다. 이 프로그램을 끄집어내어 사용하는 것을 용이라고 하는데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은 disk에 저장된 양에 제한을 받으나 법신이 구족한 프로그램이 너무나 다양하여 부족함이 없고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구족제상이라고 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남자의 정자(精子)가 지극히 미세하지만 그 정자에 체가 있고 그 체가 어떤 상(相)을 가지고 있다. 그 정자의 체가 가지고 있는 상(相)을 우리고 보통 쓰는 말로 하면 정자의 성품이다. 그 성품이 난자를 만나면 발육하여 사람이 탄생하여 성인이 되어 여러 가지 활동을 한다. 정자의 상이 난자를 만나 발육하는 것을 용이라고 한다. 그 정자의 상에 따라 태어난 사람의 모습과 성품에 제한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는 우리의 몸이 체(體)에 해당하고 이 몸이 가지고 있는 성품이 상(相)에 해당한다. 우리의 성품이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우리는 자주 우리들의 능력의 한계를 느낀다. 그러나 사상을 여의어 보살이 되면, 모든 상을 구족하여 모든 면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중생은 삼독을 여의지 못하였음으로 사상에 가리어 여래의 진신을 볼 수 없으니 진신이 구족한 제상을 볼 수 없는 것이다. 비록 부처님을 보는 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화신(化身)일 뿐이지 참된 법신(法身)은 아닌 것이다. 이러한 연고로 여래께서 설하시는 제상구족은 중생이 알 수 있는 구족이 아니라 그 이름이 제상구족이라고 하는 것이다.

사람이 느리다 게으르다고 하는 것 등은 그 사람의 상(相)에서 나오는 용(用)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 The Diamond Prajnaparamita Sutra / Translation and Commentary (hwp, pdf) file 현성 2011.11.12 12172
36 [금강경] 목차 및 원문(한글해설) file 여해 2007.03.01 34458
35 [금강경]2.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第三十二 (응화는 참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5572
34 [금강경]2.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第三十一 (자기 소견을 내지 않음) 여해 2007.03.01 12354
33 [금강경]2.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第三十 (하나로 합하는 이치의 모양) 여해 2007.03.01 13081
32 [금강경]2.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第二十九 (위의가 적정하다) 여해 2007.03.01 12593
31 [금강경]2.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다) 여해 2007.03.01 12364
30 [금강경]2.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을 것도 없고 멸할 것도 없다) 여해 2007.03.01 13123
29 [금강경]2.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은 상에 있는 것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1552
28 [금강경]2.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第二十五 (교화해도 교화를 받은 자가 없다) 여해 2007.03.01 11439
27 [금강경]2.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第二十四 (복덕과 지혜에 비교할 수 없다) 여해 2007.03.01 11699
26 [금강경]2.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第二十三 (청정한 마음으로 선(善)을 행하다) 여해 2007.03.01 12104
25 [금강경]2.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第二十二 (가이 얻을 법은 없다) 여해 2007.03.01 12203
24 [금강경]2.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第二十一 (설함 없이 설한다) 여해 2007.03.01 11377
» [금강경]2.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第二十 (색과 상을 여의다) 여해 2007.03.01 12321
22 [금강경]2.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다 교화하다) 여해 2007.03.01 11995
21 [금강경]2.18 일체통관분(一體同觀分) 第十八 (일체를 동일하게 보다) 여해 2007.03.01 12794
20 [금강경]2.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第十七 (구경에는 내가 없다) 여해 2007.03.01 12501
19 [금강경]2.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第十六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하다) 여해 2007.03.01 12705
18 [금강경]2.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第十五 (경을 수지한 공덕) 여해 2007.03.01 1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