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第二十一  (설함 없이 설한다)

須菩提 汝勿謂 如來作是念 我當有所說法 莫作是念 何以故 若人 言 如來 有所說法 卽爲謗佛 不能解我所說故 須菩提 說法者 無法可說 是名說法 爾時 慧命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聞說是法 生信心不 佛言 須菩提 彼非衆生 非不衆生 何以故 須菩提 衆生衆生者 如來說 非衆生 是名衆生

"수보리야, 너는 여래가 '내가 응당 설할 바 법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지 말라.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 왜냐하면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한다면 곧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 되고, 조금도 내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법을 설한다고 해도 가히 설할 만한 법이 없다. 이것을 이름하여 설법이라 한다."

그 때에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데, “세존이시여, 자못 어떤 중생이 미래세에 이 법 설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수보리야, 저들은 중생이 아니며 중생 아님도 아니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라 하는 것은 여래가 중생이 아니라고 말씀하시고 그 이름이 중생이라고 설하기 때문이다.”


須菩提 汝勿謂 如來作是念 我當有所說法 莫作是念 何以故 若人 言 如來 有所說法 卽爲謗佛 不能解我所說故

"수보리야, 너는 여래가 '내가 응당 설할 바 법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지 말라.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 왜냐하면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한다면 곧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 되고, 조금도 내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앞 제20장에서 여래가 구족한 색신에서 여래를 볼 수 있느냐고 묻은 것에 대하여 구족한 색신은 곧 보신불을 의미한다고 했다. 혜안을 가진 보살은 보신불에서 법신불을 볼 수 있지만 육안을 가진 중생은 법신불은 물론 보신불도 볼 수 없다고 하였다. 여래가 구족한 제상, 모든 성품도 법신불의 제상(諸相)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법신불의 체(體)와 상(相)이라고 한다. 이 법신은 공적(空寂)하여 일체의 명(名)과 언(言)이 끊어진 자리이다.

이 법신불은 여래나 중생이나 누구에게나 내재하여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법신불의 입장에서는 중생이 곧 부처이다.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 앞의 제 20장에서 법신을 설하였는데 이장에서 법신이 법을 설한다고 하면 법신불이 법신이 아니라 보신불이나 화신불이 되는 것이다. 보신불은 수하항마상을 하고 계시는 석가모니 부처님이시고 화신불이란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을 의미한다. 법신불은 화신불과 같이 법을 설하는 부처가 아니라 항상 여여하게 있는 부처이다.

이 법신불은 우리들에게 내재하여 있으면서 ‘그런 나쁜 일을 해서 되겠나’ 하고 생각하게 만든다든지, 좋은 일을 하고 싶게 만든다든지, 절에 가고 싶은 생각이 일어나게 한다든지, 꿈에나 기도에서 화현으로 나타난다든지 하여 말 없는 설법으로 우리들을 깨우치게 하시고 발심하게 하시는 부처이다. 이 제21장의 제명(題名)이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이 된 것이 바로 이러한 연유이다.      

그렇기 때문에 법신불이 설법을 한다거나 설법을 할 생각을 한다거나 하면 곧 부처를 비난 하는 것이 되고, 또 앞 장에서 설하신 부처님의 법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였다고 하는 것이다. 앞 장에서 여래를 부처님의 체(體)와 상(相)임을 설하고 이를 법신불이라고 하여 이는 진(眞)이라고 하고, 보신불과 화신불은 비진(非眞)이라고 하여 다르다는 것을 부처님께서 설하셨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부처는 석가모니부처님이신 보신불과 화신불이다. 예를 들면 역사상에 살아계셨던 석가모니 부처님은 부처를 이루신 보신불이시고, 보신불을 이루신 후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투시는 보살 및 부처로서 화신불이 된 것이다. 실제 중생을 제도하시기 위하여 활동하시는 부처님은 보신불과 화신불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우리들은 보신불과 화신불을 부처로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 법신불과 보신불과 화신불은 다르지 않다. 왜냐하면 화신불이 될 수 있는 것은 인행시부터 쌓아 온 선덕의 과보로 보신불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며, 인행시부터 선덕을 쌓고 보신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법신불이 내재하여 있었기 때문이다. 법신불은 보신불이나 화신불에게도 항상 내재하여 있으므로 진(眞)이라고 하고 보신불과 화신불을 비진(非眞)이라고 하는 것은 이와 같은 연유이다.


須菩提 說法者 無法可說 是名說法
수보리야 법을 설한다고 해도 가히 설할 만한 법이 없다. 이것을 이름하여 설법이라 한다."


중생과 부처를 동일하다고 보는 부처님 앞에서 중생에게 설할 법이 있다고 하는 것은 앞뒤가 모순 되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설법한다고 해도 아무 법도 설할만한 법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요 지옥과 열반이 둘이 아니라는 경계를 설하고 있다. 둘이 아닌데 무슨 차별이나 분별을 하려고 하느냐고 묻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장에서는 진짜 부처는 이 법계에 충만하시고 또 우리들의 마음속에 내재하여 계신다. 우리 중생의 마음에 내재하고 계시는 여래와 지금 이 장의 설법주인 여래와 조금도 다름없는 부처라는 것을 부처님께서 설하고 계신다. 제 20장에서 중생의 마음속에 계시는 여래도 색신(色身)의 면에서나 제상(諸相)의 면에서나 구족하지 못한 것이 없다고 하시고, 이 장에서는 이 장의 설법주인 여래께서 이러한 중생을 중생으로 보시지 않으시고 여래로 보시며 설법하실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하신다. 만일 설법하실 것이 있다고 하시면 여래께서 중생을 여래와 동등하게 보시는 관점에 어긋나게 되는 것이다.


爾時 慧命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聞說是法 生信心不 佛言 須菩提 彼非衆生 非不衆生 何以故 須菩提 衆生衆生者 如來說 非衆生 是名衆生

그 때에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데, “세존이시여, 어떤 중생이 미래세에 이 법 설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수보리야, 저희들은 중생이 아니며 중생 아님도 아니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라 하는 것은 여래가 중생이 아니라고 말씀하시고 그 이름이 중생이라고 설하기 때문이다.”


혜명(慧命)수보리라고 하는 것은 인도말 수보리를 뜻 번역하여 혜명이라고 하는 이름을 “서울 역전앞에서”하듯이 한역으로 혜명(慧命) 인도말로 수보리라고 반복한 이름이다.

부처님께서 중생과 여래를 같은 선상에 놓고 말씀하시므로 수보리가 미래세에 부처님이 돌아가 신후 여래와 중생이 같다고 하는 말씀을 듣고 믿는 마음을 일으키겠습니까하고 묻는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하여 부처님께서 그대들은 중생이 아니고 또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중생이다 중생이다 하는 것은 여래께서 중생이 아니라 그 이름이 중생이라고 설한다고 하셨다.

여기에서 중생이 중생이아니라고 하시는 것은 중생심(衆生心)이 공하였다는 뜻이니 중생에게 내재한 여래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 경의 설법주인 여래와 동등한 것을 의미하나 여기에서는 법신을 의미한다. 중생이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라고 하는 것은 법신불도 아리라는 뜻이니, 중생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을 때 법신불로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 아니라 화신불 혹은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등으로 화하여 중생의 필요에 응하여 설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생이 아닌 것은 법신불로 보고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라고 하는 것은 법신불도 아니라는 말인 고로, 법신불이 아닌 것은 보신불이나 화신불이다. 설법을 하는 부처님은 화신불이다. 용(用)의 입장에서 보는 부처님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래께서 중생이 아니라고 설하시고 그 이름이 중생이라고 하신 것이다. 그 이름이 중생이라고 하시는 말씀은 실제는 모든 중생이 곧 법신불이고 보신불 혹은 화신불이 될 수 있다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우리 스스로가 모두 여래라는 긍지를 가지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여 보신불이나 화신불이 되어 모든 중생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라는 것이다.

중생을 여래 법신불로 보고 부처님께서 여래에게 설법할 법문이 없다고 하시는 것을 우리들의 수준으로 낮추어보면 우리는 이야기를 하지 않고 살지는 못한다. 그러나 스님이 스님이 해야할 도리를 다하지 않고 아무리 설법을 잘한다고 하더라도 신도님들의 가슴에 와 닫지 않을 것이다. 스님이 스님이 해야할 도리를 다한다면 설법이 좀 미숙하여도 신도님들은 그 뜻을 충분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스님이 신도님들을 부처님과 같이 받들어 모시는 것이 말하지 않는 가운데 부처님의 법을 전하는 법신불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 신도님들에게 비유하여보면 어떤 가정의 자녀는 다 클 때까지 부모로부터 매 한번 맞지 않고 크고 야단 한번 맞아보지 않고 컷 다는 자녀들이 있는가 하면 부모로부터 무수히 매도 맞고 야단도 맞아가며 큰 자녀들도 있다. 부모가 자주 싸움이나 하고 사랑하는 모습이 없을 때 자녀들로부터 존경심을 잃게 하고 순종하지 않고 부모를 속이려고 하는 예들이 생긴다. 그러나 부모가 서로 사랑하고 상대를 부처와 같이 존경하면 생활이 원만하고 자녀들에게 존경을 받게 되며 자녀들은 부모를 보고 배우게 됨으로 부모가 야단을 치거나 매질을 해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우리들이 우리들의 마음속에 계시는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에게 경청하여 모든 일을 처리하는 습을 들이게 되면 우리들이 욕심에서 일으키는 사업 팽창이나 욕심에서 일으키는 약속 등에서 생기는 화난을 사전에 막고 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법신불의 말씀에 경청할 줄 알면 하는 일마다 실수 없이 잘하여 항상 편안하게 유복하게 살아가며 남에게 좋은 일을 많이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이 장에서는 말로서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너 스스로의 말과 행동으로 상대방을 존경함으로서 감화하여 따르도록 하라는 것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 The Diamond Prajnaparamita Sutra / Translation and Commentary (hwp, pdf) file 현성 2011.11.12 12179
36 [금강경] 목차 및 원문(한글해설) file 여해 2007.03.01 34484
35 [금강경]2.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第三十二 (응화는 참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5585
34 [금강경]2.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第三十一 (자기 소견을 내지 않음) 여해 2007.03.01 12361
33 [금강경]2.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第三十 (하나로 합하는 이치의 모양) 여해 2007.03.01 13094
32 [금강경]2.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第二十九 (위의가 적정하다) 여해 2007.03.01 12601
31 [금강경]2.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다) 여해 2007.03.01 12374
30 [금강경]2.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을 것도 없고 멸할 것도 없다) 여해 2007.03.01 13139
29 [금강경]2.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은 상에 있는 것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1567
28 [금강경]2.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第二十五 (교화해도 교화를 받은 자가 없다) 여해 2007.03.01 11444
27 [금강경]2.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第二十四 (복덕과 지혜에 비교할 수 없다) 여해 2007.03.01 11710
26 [금강경]2.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第二十三 (청정한 마음으로 선(善)을 행하다) 여해 2007.03.01 12115
25 [금강경]2.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第二十二 (가이 얻을 법은 없다) 여해 2007.03.01 12214
» [금강경]2.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第二十一 (설함 없이 설한다) 여해 2007.03.01 11384
23 [금강경]2.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第二十 (색과 상을 여의다) 여해 2007.03.01 12330
22 [금강경]2.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다 교화하다) 여해 2007.03.01 11999
21 [금강경]2.18 일체통관분(一體同觀分) 第十八 (일체를 동일하게 보다) 여해 2007.03.01 12804
20 [금강경]2.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第十七 (구경에는 내가 없다) 여해 2007.03.01 12504
19 [금강경]2.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第十六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하다) 여해 2007.03.01 12718
18 [금강경]2.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第十五 (경을 수지한 공덕) 여해 2007.03.01 12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