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을 것도 없고 멸할 것도 없다)

須菩提 汝 若作是念 如來 不以具足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莫作是念 如來 不以具足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汝 若作是念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說諸法 斷滅 莫作是念 何以故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於法 不說斷滅相

"수보리야, 네가 만일 '여래가 구족한 상이 없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한다면 '여래가 구족한 상이 없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지 말라. 수보리야, 네가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심한 사람은 모든 법이 단멸하다고 설한다’고 생각한다면 그렇게 생각하지 말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발심한 사람은 법에 대하여 단멸상을 설하지 않기 때문이다."


단멸상(斷滅相): 단멸상이란 끊어서 끝내고 소멸해서 없어지는 모습이란 뜻이지만 사용하는 법을 모르면 그 뜻을 바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단멸상은 무념(無念) 상태에서 일어나는 불생불멸의 상태에서 모든 번뇌를 끊고 소멸하였다는 의미가 아니라, 어차피 모든 상은 허무한 것이라 여의어야 한다면 구태여 노력할 필요가 없다고 보고 노력할 생각을 단멸하는 상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재물에 욕심을 버리고, 있는 것은 모두 보시하라고 하니까 돈 벌어서 무엇 하나 어차피 남에게 다 주어야 할 탠 데하고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체념상태에 들어가는 사람이 있다. 이러한 사람은 모든 관계를 끊어 버리고 스스로를 소멸시켜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모습을 단멸상(斷滅相)이라고 한다.


제 26장에서 여래가 구족한 32상에서 여래를 볼 수 없다고 하고 육신에서나 겉모양에서나 소리에서 여래를 보려고 하는 사람은 삿된 길을 가는 사람이니 도저히 여래를 볼 수 없을 것이라고 하니 모양에서도 여래를 볼 수 없고 소리에서도 여래를 볼 수 없다고 하는 것은 곧 여래의 가르침에서도 여래를 볼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니 어차피 볼 수 없는 여래이니 수행을 더 해서 무엇 하나 하고 수행하는 마음에 흔들림이 있는 수행자들에게 경고하는 말씀으로, 여래가 32상을 구족하지 않았어도 아뇩다라삼먁삼리를 얻었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하신다. 앞 26장에서는 여래의 32상은 허망한 것이니 여래의 모습이나 소리에서 여래를 보려고 하지 말라고 하시고 이 장에서는 여래가 32상을 구족하지 않았어도 무상정등정각을 이루었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하시면서 32상 구족의 중요성을 말씀하신다. 이 뜻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람은 동물이다. 개도 동물이다. 그러므로 개도 사람이 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부처님은 32상을 가졌다. 그러므로 32상을 가진 사람은 모두 부처라고 할 수 없으니 앞 장에서는 32상에 집착하지 말라하시고 이 장에서는 32상을 구족하지 않고 여래가 무상정등정각을 이루었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32상을 구족하기 위해서는 눈 귀 코 혀 몸 뜻으로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를 닦아야 하는데 32상에서 여래를 볼 수 없다면 수행해서 무엇하나하고 단멸상을 내는 수행자들에게 32상이 없어도 여래가 된다는 생각을 하지 말라고 앞 장의 말씀을 다시 부정 하시는 것이다.

수행하는 사람이 여래의 모습에 집착하여 자기도 그와 같은 모습을 갖겠다고 원을 세우고 수행하는 것은 좋지 만 지나치면 그 집착에 가리어 수행이 잘 되지 않는 법이다. 이러한 수행자에게 여래의 32상에 집착하는 수행자는 삿된 길로 가는 것이니 여래를 볼 수 없다고 하신 것이다. 여래의 32상에서 여래를 볼 수 없으니 32상을 포기하고 무엇을 바라고 수행하느냐고 수행의 길을 잃은 수행자들에게 여래가 32상을 구족하지 않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즉 여래가 32상을 구족함으로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비치는 것이다.

이 말씀을 재확인하기 위하여, 수보리에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겠다고 발심한 보살이 모든 법은 단멸(斷滅)하는 것이라고 설한다고 생각하느냐고 부처님이 묻고, 다시 그렇게 생각하지 말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낸 사람은 법에 대하여 단멸상을 말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셨다.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사람은 겉모양 안에 있는 부처님의 진신(眞身)을 보기를 원하기 때문에 겉모양에 연연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 신도님들의 수준에서 말하면 어느 곳이든 부처님이 계시지 않는 곳이 없다고 하니 내 안 방에도 부처님이 계시니 구태여 절에 가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고 절에서 하는 법회에 나오려고 생각도 하지 않는 것은 일종의 단멸상이다. 끊어져서 소멸되어가는 모습이다. 마치 나뭇가지가 원 줄기에서 끊어지면 소멸되어가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보시를 할 때 무주상보시를 하라고 하니 아무런 덕 볼 것이 없는데 무엇 하러 보시를 하느냐고 생각하기 쉽다. 덕 볼 것이 있어야 보시하는 사람의 마음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100불을 보시하였으면 100불 값만큼의 복을 기대하는 사람이고, 하나는 100불을 보시하고 1000불 값만큼의 복을 기대하는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에게는 100불의 복도 1000불의 복도 기대한 만큼의 복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또 높다. 이 100불 천불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점점 올라가게 되어 있는 것이 중생심이기 때문이다. 백 불에서 천불, 천불에서 만 불로 점점 올라가는 것이 중생심이기 때문에 언젠가는 크게 실망하고 남을 원망하는 단계에 부딪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단멸상이다.

부부간의 사랑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사랑을 주고 그 이상으로 사랑을 받을 것을 기대하는 가정이 많아짐에 따라 실망도 커지고 실망이 커짐에 따라 가정이 파산하는 이혼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것이 단멸상이다.

형제지간에 서로 도와 주다보면 한 쪽에서 도움을 청하는 것이 끝도 없이 커져가는 경우들이 있다. 이런 경우 상대방에서 끝이 보이지 않는 도움의 요청을 끊지 않으려고 해도 끊지 않을 수 없는 사정에 직면하여 서로간의 관계가 끊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단멸상(斷滅相)이라고 한다.

자살하는 경우도 실망이 커짐에 따라 앞이 절망상태로 보이는 것이다. 이 절망상태로 보이는 앞이 자기의 생명을 끊게 하는 동기가 되는 것이다. 이것 역시 단멸상에 속하는 것이다. 우리들의 생활 주변에는 수많은 단멸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우리 불타사의 경우도 많은 신도들이 타 종교로 개종하거나 절에 다니는 것을 단념하신 분들이 많이 계신다. 이것 역시 모든 관계를 끊고 소멸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단멸상에 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들이 왜 생기는 것일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절에 다니는 목적이 무엇인가 구할 수 있고 얻을 것이 있다고 생각하고 다니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절에 다녀보니 구할 것도 없고 얻을 것이 없다고 생각될 때 이러한 사람들은 얻을 것이 있는 곳으로 찾아가게 되어 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사람들에게 구하는 마음, 얻고자 하는 마음을 버리거나 비우면 편안해 진다고 하지만 이러한 사람들은 그러한 말을 듣고 싶어 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람들에게는 무주상보시라고 하는 것은 감히 생각할 수 없는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불교는 이러한 사람들을 제도하고 불교와 친화할 수 있는 활동이 전혀 없는 것이 사실이다. 불교에서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라고 서원하는 것을 제일 신조로 하면서도 막상 실천면에서는 너무나 미약하다. 유아 청소년 장년 노인 장애자 복지 문제에 대하여 전혀 생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불교가 종교 단체로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체념하고 있는 것이니 일종의 단멸상에 가까운 현실이다.

이 27장에서 말씀하시기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사람은 단멸상을 설하지 않는다”고 하신다. 많은 분들이 단멸상을 취하여 불타사를 떠났지만 이제 남아 있는 우리들이 힘을 모아 보리심을 발하여 이 단멸상을 깨고 이익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익을 줄 수 있는 부처님의 집으로 성장시켜 나가야한다. 이것이 바로 상(相)을 여의라고 하지만 “여래가 32상을 구족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지 말라”하신 말씀이다. 즉 상(相)을 여의라고 했지만 상(相)이란 없는 것이 아니라고 하여 상대방의 근기에 따라 법을 설하여야 한다는 말씀이다.

『금강경』에서 구하는 마음을 버리고 무주상보시를 하라고 설하지만 이 말씀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에게 굳이 구하는 마음을 버리라고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아라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불타사로 성숙시켜나가야 한다. 현재 불타사에 나오시는 불자님들은 과거에 있었던 단멸상의 원인을 소멸하고 새 신도님들이 나오시면 따뜻하게 대하고 그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하여 최대한의 노력을 하여야 한다. 이것이 바로 부처님의 자비행이요 보살행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발심한 사람은 단멸상을 설하지 않는다고 하신 말씀의 뜻이다.

불교에서 구하는 마음이 없게 되면 마음이 편안하여지기 때문에 구하는 마음 없이 보시하라고 가르친다. 구하는 마음 없이 보시하는 것이 중생심을 가진 인간이 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구하는 마음 없이 보시하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기 때문이다. 물이 흐르면서 모든 생명들에게 물을 공급하지만 내가 너에게 생명을 유지하는데 빼 놓을 수 없는 물을 준다고 상을 내는 법이 없고, 공기가 모든 생명들에게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면서도 공기를 공급한다고 상을 내는 법이 없다. 허공도 대지도 바다도 산도 어느 것 하나 그들이 수많은 생명들에게 은혜를 베풀지만 은혜를 베푼다는 상을 내는 법이 없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다. 이와 같은 이치로 부처님께서 무주상보시를 설하는 것이다.    

“내 것”이라고 하는 것은 물건의 흐름에서 나에게 와 머물렀다는 뜻이고 내가 “내 것”을 남에게 준다고 하는 것은 나에게 머물렀던 물건을 남에게 전달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므로 나라는 것은 이동하던 물질이 잠시 나에게서 쉬었다가 다음 사람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연의 이치 때문에 누구를 도와주었다는 상을 낼만한 일이 못되는 것이니 무주상보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무주상보시는 불성을 가진 모든 존재를 공경하는 도리가 되는 것이니, 상(相)이 없이 “내 것”을 누구에게 준다는 모든 무주상보시는 바로 부처님에게 바치는 불공이 되기 때문에 불가 사량한 복덕을 짓는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상이 바로 불교의 평등사상이요, 자비사상이요, 보살사상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 절 안에서부터 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를 살려가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따뜻하고 온화한 분위기가 되어 오는 사람마다 평화를 얻어 갈 수 있게 하자. 이것이 바로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발심한 사람은 단멸상(斷滅相)을 설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 The Diamond Prajnaparamita Sutra / Translation and Commentary (hwp, pdf) file 현성 2011.11.12 12185
36 [금강경] 목차 및 원문(한글해설) file 여해 2007.03.01 34507
35 [금강경]2.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第三十二 (응화는 참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5587
34 [금강경]2.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第三十一 (자기 소견을 내지 않음) 여해 2007.03.01 12376
33 [금강경]2.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第三十 (하나로 합하는 이치의 모양) 여해 2007.03.01 13102
32 [금강경]2.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第二十九 (위의가 적정하다) 여해 2007.03.01 12604
31 [금강경]2.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다) 여해 2007.03.01 12377
» [금강경]2.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을 것도 없고 멸할 것도 없다) 여해 2007.03.01 13156
29 [금강경]2.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第二十六 (법신은 상에 있는 것이 아니다) 여해 2007.03.01 11577
28 [금강경]2.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第二十五 (교화해도 교화를 받은 자가 없다) 여해 2007.03.01 11447
27 [금강경]2.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第二十四 (복덕과 지혜에 비교할 수 없다) 여해 2007.03.01 11717
26 [금강경]2.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第二十三 (청정한 마음으로 선(善)을 행하다) 여해 2007.03.01 12124
25 [금강경]2.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第二十二 (가이 얻을 법은 없다) 여해 2007.03.01 12230
24 [금강경]2.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第二十一 (설함 없이 설한다) 여해 2007.03.01 11386
23 [금강경]2.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第二十 (색과 상을 여의다) 여해 2007.03.01 12331
22 [금강경]2.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다 교화하다) 여해 2007.03.01 12005
21 [금강경]2.18 일체통관분(一體同觀分) 第十八 (일체를 동일하게 보다) 여해 2007.03.01 12817
20 [금강경]2.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第十七 (구경에는 내가 없다) 여해 2007.03.01 12507
19 [금강경]2.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第十六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하다) 여해 2007.03.01 12724
18 [금강경]2.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第十五 (경을 수지한 공덕) 여해 2007.03.01 12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