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끊을 것도 없고 멸할 것도 없다)

須菩提 汝 若作是念 如來 不以具足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莫作是念 如來 不以具足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汝 若作是念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說諸法 斷滅 莫作是念 何以故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於法 不說斷滅相

"수보리야, 네가 만일 '여래가 구족한 상을 구족하지 않아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여래는 여래가 구족한 상을 구족하지 않아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을 것이다'고 생각하지 말라. 수보리야, 네가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사람은 모든 법은 끊어지고 소멸해 없어진다고 설한다. 고 생각한다면 그렇게 생각하지 말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발심한 사람은 법에 대하여 단멸상을 설하지 않기 때문이다."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제26에서 여래의 32상에서 여래를 보려고 하지 말라고 하시고, 또 부처님의 몸의 형상에서 여래를 보려고 하거나 음성에서 여래를 보려고 하는 자는 결코 여래를 볼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 법문을 듣고 수보리가 생각하기를,

그렇다면 여래가 여래의 몸에 32상을 구족하지 않아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긴가 라고 생각하니, 부처님께서 그런 생각하지 마르라. 여래는 내 몸에 있는 모든 공덕상은 내가 지은 것이 아니라 나와 인연된 모든 연에 의하여 이루어 진 공덕상이니 이 연들에게 감사하고 이 연들에게 보답하고자 연들이 당하고 있는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항상 안락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울 뿐이다. 여래의 몸에 있는 32상이든 무엇이든 내가 한 것이 아니라 나의 모든 연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니 내가 했다는 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상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든가 나의 상이라는 집착하는 마음도 없다. 몸과 마음에 저장되는 모든 상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어 보시바라밀을 수행하는 과보로 저장되는 모습이니, 보시바라밀을 수행하고 있는 한, 그 과보로서 생기는 상(相)이다. 내가 그 상을 탐한다고 생기는 것도 아니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도 내가 집착한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두 인과법에 의하여 수행의 결과로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상(相)이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것이다.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제25에서는 여래가 아무리 많은 중생을 제도하였어도 한 중생도 제도 받은 자가 없다고 하시고 만약 한 중생이라도 여래가 제도한 이가 있다면 여래는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는 것이라고 하셨다.

이 법문에 대해서도 수보리가 생각하기를, 중생을 제도했어도 한 사람도 제도 받은 자가 없다. 만약 제도한 자가 한 사람이라도 있다면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는 것이니 여래가 아니다 하고 하시니, 무엇을 얻기 위해 중생을 제도할 것이냐는 의문이 생긴다. 특히 무아상(無我相), 나라는 상이 없다면 모든 것은 단멸(斷滅), 끊어지고 소멸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수보리가 갖게 된다.

이 의문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須菩提 汝 若作是念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說諸法 斷滅 莫作是念 何以故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於法 不說斷滅相

수보리야, 네가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사람은 모든 법은 끊어지고 소멸해 없어진다고 설한다.고 생각한다면 그렇게 생각하지 말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발심한 사람은 법에 대하여 단멸상을 설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법문에서 중요한 단어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발심한 자와 법에 단멸상을 설하지 않는다. 이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발심한 자, 위없이 높고 무엇과도 비교될 수 없는 깨달음을 얻고자 발심한 사람. 이것은 부처님께서 얻으신 깨달음과 같은 깨달음을 얻고자 발심한 사람이다.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무엇인가.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바는 일체법의 현상은 연생(緣生) 연멸(緣滅)한다. 연생 연멸한 것은 일체가 무상(無常)하고, 일체가 ‘나’ 아닌 것과 연이 되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라는 고유성이나 유일성이 없다. 무자성(無自性)이라고도 한다. 무자성인 나를 무아(無我)라고 했다. 그리고 그 연은 항상 시시각각으로 변하고 있으므로 무상(無常)하다고 한다.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은 무아법과 무상법에 어두운 사람들이고, 무아법과 무상법에 통달한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고, 열반 상락아정을 즐길 수 있는 해탈한 사람이라고 했다.

일체법의 근본은 무생(無生) 무멸(無滅), 불생불멸(不生不滅), 나는 것도 없고 멸하는 것도 없다.

범부중생이 생각하는 의식을 정식(情識)이라하기도 하고 업식(業識)이라 하기도 한다. 범부중생의 의식은 그의 업에 따라 좋고 나쁘고, 옳고 그르고, 오고 가고, 태어나고 죽고 하는 것과 같은 분별하는 의식이다. 이 의식은 현상계를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의사 결정을 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의식이다.

부처님께서 깨닫고 보니, 청정공덕이 쌓이면 분별하는 이 의식이 끝나고 분별함이 없는 지혜, 무분별지(無分別智)의 문이 열림을 보신 것이다. 이 무분별지혜를 반야바라밀이라 하고 상징적으로 금강을 표상하여 금강 반야바라밀이라 했다. 반야바라밀에서 보니 나의 근본은 참된 나, 진아(眞我)인데, 진아는 무생(無生) 무멸(無滅), 불생(不生) 불멸(不滅) 한 영생(永生)의 상락아정(常樂我淨) 열반에 있다. 그러나 현상세계는 연생(緣生) 연멸(緣滅)하는 것으로 연에 따라 운명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내가 잘났다, 내가 했다, 내가 한다는 사람은 연생(緣生)임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이고, 연생(緣生), 즉 나의 연의 덕분에 이 세상에 태어났고, 숨 쉬고, 밥 먹고, 잠 잘 자고 살아가고 있으니 연에 감사하고 보답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다. 이 사람은 무아(無我)의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이고, 무아의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상을 내지 않으면서도 항상 남에게 보답하는 마음으로 남을 도우므로 불멸의 공덕(功德)을 많이 지어가며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의 마음에는 이것하면 공덕이 있다 없다, 32상에 도움이 된다. 안 된다. 최상의 법을 깨닫는데 도움이 된다. 안 된다 하는 분별하는 생각이 전혀 없는 무아(無我)의 마음으로 수행하는 사람이다. 이러한 수행자는 반야바라밀의 수행 계위에 있는 사람이다. 이렇게 살아가는 사람이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하는 사람이고, 무주상보시 공덕이 있는 수행자이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발심한 자는 법에 단멸상을 설하지 않는다. 라는 말씀은 다른 진리의 말씀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그것은 어떠한 법도 끊어지거나 소멸될 수 없는 것이니 단멸한다고 말하지 말라. 이다. 예를 들어 보면, 어떤 사람이 죽었다고 해도 그 사람이 단멸했다고 하지 말라는 뜻이다. 왜냐하면 그 사람의 형상은 사라졌지만, 그 형상을 구성하고 있던 바람, 물, 열, 흙 기운은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고. 그 사람의 마음에 쌓여온 불선(不善)과 선(善)의 공덕의 과보도 다음 생의 연을 만나면 그 연에 성숙됨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지만 그 업(業)의 과보는 그대로 이어지게 된다. 자연의 법칙에는 연의 변화에 따라 그 모습과 내용이 변하지만 단멸되는 법칙은 없다. 그러하니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발심한 자는 법에 단멸상을 설하지 않는다. 라고 하신 것으로도 이해된다.

목숨은 연멸(緣滅), 연에 따라 멸하나 그 업과 공덕은 연멸하는 대상이 아니다. 그동안 쌓아 온 모든 공덕의 힘으로 다시 연생(緣生)하는데 도움이 된다. 죽음 앞에서도 업과 공덕은 단멸되는 것이 아니니,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자는 모든 법(여기에서는 공덕 짓는 법, 32상을 짓는 법)이 단멸됨을 설한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하셨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는 32상이나 어떠한 상에도 집착해서 수행하지도 말고, 그 과보, 공덕이 있고 없고 에 대한 걱정도 하지 말고, 오로지 연기법과 인과법을 굳게 믿고 육바라밀을 일심으로 닦으라는 가르침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554 2016.12.04.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2.07 2515
553 2016.12.04. 현성스님 법문 복과 덕 현성스님 2016.12.04 2504
552 2016.11.27.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30 2518
551 2016.11.27. 현성스님 법문: 폴의 죽음 현성스님 2016.11.27 2666
550 2016.11.20.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22 2632
549 2016.11.20.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응화비진분 제32 현성스님 2016.11.21 2673
548 2016.11.13.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15 2874
547 2016.11.13.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지견불생분 제31 현성스님 2016.11.13 2507
546 2016.11.06.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07 2734
545 2016.11.06.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일합이상분 제30 현성스님 2016.11.07 3004
544 2016.10.30.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02 2508
543 2016.10.30.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위의적정분 제29 현성스님 2016.10.31 2853
542 2016.10.23.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불수불탐분 제28 현성스님 2016.10.27 2548
541 2016.10.23.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26 2730
» 2016.10.16.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무단무멸분 제27 현성스님 2016.10.19 2492
539 2016.10.16.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18 2535
538 2016.10.09.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15 2805
537 2016.10.9.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법신무비분 제26 현성스님 2016.10.09 2524
536 2016.10.02.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04 2518
535 2016.09.25.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04 2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