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다)

須菩提 若菩薩 以滿恒河沙等 世界 七寶 持用布施 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此菩薩 勝前菩薩 所得功德 何以故 須菩提 以諸菩薩 不受福德故 須菩提白佛言 世尊 云何菩薩 不受福德 須菩提 菩薩 所作福德 不應貪着 是故 說不受福德

“수보리야, 만일 한 보살이 항하강 모래수와 같은 많은 세계에 가득 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에 사용했다고 하고, 또한 만일 어떤 사람이 일체 법이 무아임을 알아 인욕 바라밀을 증득하여 이루면 이 보살은 앞의 보살이 얻는 공덕보다 수승하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모든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는 까닭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않습니까?”

“수보리야, 보살이 짓는 복덕은 조금도 탐착함이 없이 짓기 때문에 복덕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느니라.”

항하강에 있는 모래알 수만큼 많은 세계에 가득한 칠보(七寶), 이 세상에서 가장 귀한 7가지 보배를 가지고 남을 위해 보시하는 것과, 어떤 사람이 일체 법은 무아(無我)임을 깨달아서 나고 죽음에 당하여 참을 것이 없는 지혜를 통달하면 이 보살은 앞의 한없는 칠보(七寶)를 보시해 얻는 복덕에 비해 훨씬 수승한 복덕을 받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보살들은 복덕을 받으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세존이시여, 보살은 어떻게 복덕을 받지 않습니까.”

“수보리야, 보살은 자기가 지은 복덕에 대하여 탐내거나 집착하지 않는다. 이러하기 때문에 복덕을 받으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고 한다.

제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의 핵심은 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어떤 사람이 일체법이 무아임을 깨달아서 아무리 많은 재물이 오든 가든, 죽음이 있든 없든, 아무리 심한 고통이 오든 기쁨이 오드라도 전혀 동요함이 없는 참음의 지혜를 성취하다. 이다. 무슨 뜻인가?

일체법이 무아(無我)임을 깨달았다는 말은 모든 법, 즉 작은 티끌이든 큰 산이든, 동물이든 식물이든, 땅이든 바다이든 모든 법은 아공(我空), 법공(法空), 구공(俱空)임을 깨달아 일체 분별하는 마음이 없어 동요됨이 없는 참음의 지혜, 인욕바라밀을 성취하였다는 뜻이다.

아공(我空)은 나를 만들고 있는 오온(五蘊), 즉 몸과 수상행식(受想行識)은 모두 ‘나’아닌 것[타(他)]을 가지고 자기성품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자기자체의 자성(自性)은 없다는 뜻이다. 즉 무자성(無自性)을 아공(我空)이라고 표현한다.

‘나’아닌 남[타(他)]을 가지고 자기성품으로 삼는다는 뜻은 무엇인가?

오온(五蘊) 중 이 몸은 내 몸이라고 생각하고 알고 있지만 알고 보면 부모로부터 온 것이고, 바람, 물, 열, 흙 기운은 모두 ‘나’ 아닌 남으로 되어 있지 않느냐. 그러니 ‘나’라는 자성(自性)은 내 몸안에 없다. 고 한다. 이 말을 다르게 표현하면, 몸인 색(色)은 곧 공(空)이다.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 한다.

수상행식(受想行識), 마음도 공하다고 하는 것은 느낌도 공하고, 생각도공하며, 말하고 행동하는 의사 표현도 공이며, 의식도 공하다는 것이다. 무슨 뜻인가?

사람인 우리가 보고 듣고 냄새 맞고, 맛보고, 피부로 그 대상을 접하여 느끼는 것은 마음속에 저장된 과거의 경험이 느낌으로 반사 된다. 즉 마음속에 쌓인 과거에 지은 업이 느끼고 생각하고 의사 결정을 하는 기준이 되고, 이 행동이 또 새로운 업의 종자로 저장되어 다음 대상을 만날 때 느낌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느낌은 모두 과거에 쌓인 경험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니 필연적(必然的)인 자성(自性)은 없다. 그러므로 업(業)을 바꾸면 느낌 생각 행동이 바뀌는 것이 사실이다.

느낌에 필연적인 자성이 없다는 뜻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수즉시공(受卽是空) 공즉시수(空卽是受), 생각은 상즉시공(想卽是空), 공즉시상(空卽是想), 행동은 행즉시공(行卽是空), 공즉시행(空卽是行), 의식은 식즉시공(識卽是空), 공즉시식(空卽是識)이 된다. 즉 의식도 그동안 살아온 과정에서 쌓인 업의 작용이니, 업을 바꾸면 의식이 바뀌는 법이니 의식에 자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뜻을 식이 곧 공이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즉 부정(不淨)한 의식은 얼마든지 깨끗하고 긍정적인 의식으로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공(空)도리이다. -0-는 완전히 깨끗한 점이고, +방향으로 전진할 수도 있고 -방향으로 타락할 수 도 있는 -0-점이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몸과 마음이 모두 공(空)하다는 이치를 알게 되면 ‘나’라고 생각하는 아상(我相)은 모두 과거부터 내가 지은 나의 업의 소현(所現)임을 알게 된다. 그 업을 소멸하므로 써 업이 없는 ‘나’ 즉 비상(非相)을 보게된다. 비상(非相)은 아공(我空)이다.

법공(法空)이란?

물을 보고 물은 물 아닌 것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물에 애착하거나 집착하지 않을 때, 수즉시공(水卽是空)이라는 법을 깨닫는다.

어떤 사람의 인물이 잘 생긴 것을 보는 즉시 그 인물이 잘생긴 것은 그 사람의 업의 소현(所現)이고, 자성(自性)이 없음을 꿰뚫어 보고 애착이나 집착심을 일으키지 않을 때, 사람에 대한 법이 공함을 보았다고 한다.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의 대상인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 등 어떠한 대상에도 모두 업의 소현이라 고정된 자성(自性)이 없고 변하는 것이라는 것을 직관(直觀)하고 어떠한 대상에도 애착(愛着)이나 집착(執着)을 일으키지 않을 때 법공(法空)에 통달했다고 한다.

구공(俱空)이란 모든 자성이 공했다는 뜻인데, 보살이 아공(我空)을 증득했을 때, 아공을 증득했다는 것을 안다. 법공을 증득했을 때도 법공을 증득 했음을 안다. 즉 아공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자, 법공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자가 있다. 이렇게 아는 자가 있는 보살은 7지(地) 이하의 보살이라 하고, 이렇게 아는 자마저도 사라진 보살을 8지(地)이상의 보살이라고 화엄경 십지품(十地品)에 설하고 있다.

8지 이상의 보살은 이러한 이유로 실무유법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즉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할 만한 아무런 법이 없다. 라고 하였다.

아공 법공 구공의 뜻이 이러함으로 삼공(三空)을 통달한 보살은 일체법이 모두 무아(無我)임을 통달한 보살이고 어떠한 어려운 일이 닦쳐와도 그 어려움을 직관하여 어려움이나 두려워 할 것이 없는 이치가 보이게 됨으로 인욕바라밀, 참을 것이 없는 지혜에 통달한 보살이다.

제18 일체통관분에 의하면 이러한 보살은 당연히 부처님과 같은 오안(五眼), 육안(肉眼),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이 열린 보살이다. 일체법 무아를 증덕한 보살의 공덕은 아무리 많은 재물을 보시하여 얻는 공덕보다 수승하다고 하신 이유이다.

제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의 둘째 단락에서 此菩薩 勝前菩薩 所得功德 何以故 須菩提 以諸菩薩 不受福德故 須菩提白佛言 世尊 云何菩薩 不受福德 須菩提 菩薩 所作福德 不應貪着 是故 說不受福德

이 보살은 앞의 보살이 얻는 공덕보다 수승하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모든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는 까닭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않습니까?”

“수보리야, 보살이 짓는 복덕은 조금도 탐착함이 없이 짓기 때문에 복덕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느니라.”

“왜냐하면 모든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는 까닭이니라.” 라고 하는 뜻은 무엇인가?

한없는 보시를 하고도 복덕을 받을 생각은 전혀 하지 않는 보살은 연기법(緣起法)에 통달하였고, 무아 법을 통달한 보살이다.

연기법에 통달하였다는 뜻은 무슨 뜻일까?

세상에 있는 모든 존재는 모두가 자기 아닌 법과 연하여 이 세상에 나타났고 존재하는 모든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해가면서 살다가 연이 다하면 사라지고, 다음 연을 만나 또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우주의 법을 연기법이라 한다.

이와 같이 나의 몸과 마음은 이 우주 일체 법과 연하여 나서 살고 있으므로 일체법의 도움에 한 없이 감사하고 존중한다. 일체법의 덕분에 아무 것에도 걸림 없이 행복하게 살고 있으므로 ‘나’는 이 우주의 모든 법의 자유와 평화, 건강과 행복을 위해 조건 없는 보시 행을 하며 살고자 한다. 일체법이 나에게 베푼 공덕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하는 조건 없는 보시이므로 내가 받고자하는 복덕은 처음부터 생각한 적이 없다. 이에 대한 기대도 집착도 있을 수 없는 보살이다. 이러한 보살의 보시 행을 금강경 제4 묘행무주분에서 상에 머물지 않고 하는 보시는 하늘 끝이 없는 것과 같이 그 복덕의 끝도 없다고 하셨다. 처음부터 상을 짓지 않는 보시 행은 한없는 보시공덕이 있다는 말씀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554 2016.12.04.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2.07 2514
553 2016.12.04. 현성스님 법문 복과 덕 현성스님 2016.12.04 2502
552 2016.11.27.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30 2517
551 2016.11.27. 현성스님 법문: 폴의 죽음 현성스님 2016.11.27 2666
550 2016.11.20.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22 2632
549 2016.11.20.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응화비진분 제32 현성스님 2016.11.21 2671
548 2016.11.13.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15 2873
547 2016.11.13.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지견불생분 제31 현성스님 2016.11.13 2505
546 2016.11.06.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07 2734
545 2016.11.06.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일합이상분 제30 현성스님 2016.11.07 3003
544 2016.10.30.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02 2507
543 2016.10.30.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위의적정분 제29 현성스님 2016.10.31 2851
» 2016.10.23.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불수불탐분 제28 현성스님 2016.10.27 2548
541 2016.10.23.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26 2730
540 2016.10.16.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무단무멸분 제27 현성스님 2016.10.19 2491
539 2016.10.16.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18 2535
538 2016.10.09.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15 2804
537 2016.10.9.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법신무비분 제26 현성스님 2016.10.09 2524
536 2016.10.02.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04 2517
535 2016.09.25.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04 2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