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第二十九

(위의가 적정하다)


須菩提 若有人 言 如來 若來若去若坐若臥 是人 不解我所說義 何以故 如來者 無所從來 亦無所去 故名如來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께서 온다고 하거나, 간다고 하거나, 앉는다거나, 눕는다고 한다.’ 면 이 사람은 내가 설한 바 뜻을 알지 못함이니라, 왜냐하면 여래란 어디로부터 온 데가 없으며 또한 가는 데도 없으므로 여래라고 일컸나니라.”

제29품에서는 ‘여래’라는 말의 뜻을 정의하고 있다.

앞의 품들을 다시 점검하면서 풀어보자.

제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에서 약이색견아(若以色見我) 이음성구아(以音聲求我) 시인행사도(是人行邪道) 불능견여래(不能見如來)라고 하여 부처님을 부처님의 형상이나 음성에서 보려고 하는 사람은 삿된 짓을 행하는 사람이니 도저히 여래를 볼 수 없을 것이라고 하여 형상이나 음성에서 여래를 찾지 않을 것을 당부하셨다.

본 제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에서는 여래는 오고 가고 앉고 눕고 하는 위의(威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오고 가고 앉고 눕고 하는 위의는

겉모습이니 겉모습에서 여래를 보려고 하면 수행을 잘못하는 것이다. 움직이는 모습에서 움직임이 없는 고요한 상태 그 자체, 반야바라밀이 여래이니, 여래는 어디로부터 오는 것도 아니요, 어디로 가는 것도 아니다. 즉 여래는 무생법성(無生法性) 불생불멸, 진실(眞實), 진여(眞如)한 반야바라밀이다. 다만 범부들을 위해 여래라고 한다. 오고 가고 앉고 눕고 하는 것은 시작이 있고 끝이 있는 현상이다.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근본이 있기 때문이다. 이 근본은 시작이 없는 법성(法性)을 가지고 있다. 시작이 없음으로 끝도 없어 항상 여여하게 그 자리에 있다. 마치 허공(虛空)은 시작도 없고 끝이 없어 불생불멸이지만, 이에 의지 하여 한없는 생멸 현상이 전개되고 있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허공은 여래에 비유된 것이고 생멸 현상은 오고 가고 앉고 눕고에 비유된 것이다.

제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에서 형상(形相)이나 음성에 집착하던 수행자들이 형상이나 음성에서 여래를 볼 수 없다면 수행하는 것도 하나의 형상에 불과한 것이니 수행할 것도 없지 않느냐고 생각하여 단멸상(斷滅相)을 일으키는 것을 보고, 여래께서 깨달은 사람은 단멸상을 설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여, 집착하는 형상에는 여래가 없지만 집착을 놓으면 그 속에 여래가 있음을 설하였다. 수행자가 여래의 형상에 집착하는 마음을 놓으면 그 자체가 바로 여래라는 말씀이다.

본 제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에서는 여래는 오고 가고 앉고 눕고 하는 위의(威儀) 현상 속에 오지도 가지도 앉지도 눕지도 않는 여래가 항상 그 자리에 있다는 말씀이다. 비유해 설명하면, 여기 한 덩어리의 얼음이 있다. 얼음보고 “현재 너는 주변조건에 의해 생긴 것이니 자성이 없다. 자성이 없으니 반드시 멸할 것이다. 너는 오고 감이 있으니 생멸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오고 감이 있는 너에게 오고 감이 없는 너, 불생불멸의 너가 있다. 불생불멸의 너가 있다는 말을 믿고 열심히 정진하여 너의 얼음 업식에 의한 인식작용을 멈추게 되면, 오고 감이 있는 너에서 오고 감이 없는 너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면 너는 곧 참된 너가 누구인지를 알게 될 것이다. 라고 하는 것과 같다. 참된 너는 물이다. 얼음은 물이 변해 된 것이니, 얼음을 보고 얼음에서 물을 볼 수 있다. 얼음이 곧 물임을 안다. 이렇게 볼 줄 아는 것을 지혜라 하고 직관력(直觀力)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제 28장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에서 깨달은 사람의 행이 복덕을 받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구하고자 하는 마음에서나 탐착하는 마음에서 보살행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구하고자 하는 마음이나 구하고자 하지 않는 마음이나 탐착하는 마음 없이 하는 보살행은 무아(無我)와 인욕바라밀을 증득한 지혜로운 행이기 때문에 무한한 복덕을 짓는다고 하는 의미이다. 제 26장에서 설하는 형상에 집착하는 마음도 없고 제 27장에서 설하는 형상에 집착하지 않는 마음도 없이 보살이 중생을 위하여 오직 자기 할 일을 할 뿐임을 설하신다.

본 제29장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에서 여래는 어디에서부터 오는 것도 아니요 어디로 가는 것도 아니라고 하여, 가고 오는 모양이 보이지 않은 것을 고요한 적(寂)이라 하고, 그 소리가 들이지 않는 것을 고요한 정(靜)이라 한다. 즉 여래의 모든 행동은 모양이 없어 고요하여 적(寂)이라 하고, 소리가 들리지 않아 고요하여 정(靜)하다고 했다. 그 행이 고요하다고 하는 것은 오고 가는 움직임은 없지만 움직임의 근본은 그 자리에 있다는 것이다.

만약 어디에서부터 온 곳이 있으면 반드시 가는 곳이 있기 마련이다. 오는 곳이 있고 가는 곳이 있는 것이 약래약거약좌약와(若來若去若坐若臥)이다. 만약 왔으면 가야하는 것이고, 갔으면 와야 하는 것이며, 만약 앉았으면 눕든지 서야하는 것이고, 만약 누었으면 앉든지 일어서야한다는 것이 약래약거약좌약와(若來若去若坐若臥)이다. 그래서 오고 감이 있다는 것은 시작과 끝이 있고, 생과 멸이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약래약거약좌약와(若來若去若坐若臥)는 현상계의 생멸법을 말하는 것이다. 생멸법을 행하는 것이 여래라고 말한다면 그 사람은 여래의 뜻을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고 한 것이다. 여래는 생멸법이 아니라 그의 근본이 되는 무생법성(無生法性)이다. 즉 불생불멸성이다. 무생법성은 생함이 없는 법의 성품이니 어디에서부터 오는 것도 아니요 가는 것도 안인 법의 성품이다. 무생법성은 불생불멸이고 여여부동(如如不動)하여 위의적정(威儀寂靜)하다. 즉 행(行)이나 상(相)이 적정(寂靜)하다는 것이다. 이 말씀을 비유하여 설명 드리면 위에서 얼음에서 물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얼음이 조건 변화에 따라 수증기로 변하면 수증기에서 물을 볼 수 있고, 수증기가 안개로 변하면 안개에서도 물을 볼 수 있으며, 안개가 변하여 구름이 되면 구름에서도 물을 볼 수 있으며, 구름이 눈으로 변해도 눈에서 물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무수한 종류로 변화하여 가는 현상에서 그 근본을 직관할 수 있으면 언제나 조금도 움직인 바가 없는 물이라는 말씀이다. 이렇게 움직임이 없는 물은 불생불멸하는 여래에 비유하고, 얼음, 안개, 구름 등 현상은 조건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는 행(行)과 상(相)에 비유된다.

움직일 행(行)이나 모습 상(相)은 번뇌이고 적정(寂靜)은 번뇌가 없으니 고요하다는 뜻이다. 번뇌가 오고 감이 없어 고요하다는 뜻은 선정(禪定)의 정(定)을 의미하고 정은 곧 삼매이다. 삼매는 지혜 광명의 모체(母體)가 된다.

우리들의 마음 중에서도 오고감이 있는 마음과 오고감이 없는 마음이 있다. 오고감이 있는 마음을 우리는 번뇌라고 한다.

우리들의 마음 중에 오고감이 없는 마음을 찾아보자. 우리는 이 오고감이 없는 마음은 앞에서 설한 선정에서나 잠에서 체험할 수 있다.

우리는 매일 잠을 잔다. 잠에서 꿈도 없이 깊이 숙면(熟眠)하는 경험을 한다. 이 깊은 숙면에 잠겨 있을 때 우리들의 마음은 어디에서부터 온 바도 없고 어느 곳으로 가는 바도 없다. 오고 가는 망상이 모두 사라졌을 때 그 마음속에 있었을 뿐이다. 그리고 숙면은 내 몸과 마음이 가지고 있는 모든 병을 치유하는 대의왕(大醫王)이다. 누구도 치료할 수 없는 병을 치료할 수 있는 대의왕(大醫王)이다.

이 자리가 바로 법신불(法身佛)의 자리요, 우리 각자의 주인공(主人公)이 머무는 곳이다. 이 주인공 법신은 오고 감이 없는 것을 본질로 하기 때문에 아무리 미세한 번뇌나 생각이 일어나도 숨어버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에서 화두를 잡는다는 생각조차도 허용하지 않으며, 관세음보살을 염불한다, 아미타불을 염불한다는 생각조차도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두를 안 놓친다는 생각, 염불을 한다는 생각, 아공(我空)을 체험했다는 생각마저 비워야 참다운 선정에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앞 장에서 형상에 집착하는 것도 버리고 집착하지 않는 마음도 버리고 오직 보살행을 할 뿐이라고 한 것이다.

이러한 수행을 위해 노력하면 선정에 들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번뇌가 감소되어 잠에서 숙면을 이루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잠에서 숙면을 이룰 수 있으면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다. 피로가 회복되고 정신이 맑아지고 하루 일이 순조롭게 풀리는 것 등을 우리는 경험한다.

그리고 우리들의 마음에 생멸이 없는 부처님이신 여래인 법신불이 계신다. 번뇌가 일어나면 숨고 번뇌가 사라지면 나타나지만 항상 우리 마음에 계신다. 그리하여 이 품에서 무소종래(無所從來) 역무소거(亦無所去)라고 표현하고 있다. 번뇌를 일으키는 업(業)을 완전히 멀리하면, 생멸을 분별하는 인식(업식)작용을 멀리 떠날 수 있다. 이 때, 번뇌없는 불생불멸을 조견(照見)하는 반야바라밀이 작동한다. 반야바라밀로 조견할 때 여래는 오는 곳도 없고 가는 곳도 없는 여여한 법신불이다.

화신불은 우리들의 마음의 상태에 따라 오셨다가 가시기도 하고 가셨다가 오시기도 하는 부처님이다. 따라서 여래 약래약거약좌약와(若來若去若坐若臥)하는 중에도 법신은 보이지는 않지만 항상 그 자리에 계시나 화신은 나타날 때도 있고 나타나지 않을 때도 있다.

화신불은 내가 부르는 소리를 듣고 응하여주시는 관세음보살님, 지장보살님, 나무아미타불이다. 그러나 염불 중에 내가 딴 생각을 하기 시작하면 가버린다. 그러나 법신불이 내재하여 있다가 고요한 기회를 타서 내가 그렇게 딴 생각을 하면 되느냐하고 일깨워 주신다. 그러면 내가 엉뚱한 생각을 했구나 하고 기도를 다시 열심히 하면 또 관세음보살님이 그 소리를 듣고 응하여 주신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부처님의 제자들은 염불을 하던 참선을 하던 관세음보살님을 의지하여 자기 마음을 일단 고요하게 하여 법신불이신 여래와 접하고자하는 것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554 2016.12.04.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2.07 2515
553 2016.12.04. 현성스님 법문 복과 덕 현성스님 2016.12.04 2504
552 2016.11.27.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30 2518
551 2016.11.27. 현성스님 법문: 폴의 죽음 현성스님 2016.11.27 2666
550 2016.11.20.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22 2632
549 2016.11.20.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응화비진분 제32 현성스님 2016.11.21 2672
548 2016.11.13.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15 2874
547 2016.11.13.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지견불생분 제31 현성스님 2016.11.13 2507
546 2016.11.06.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07 2734
545 2016.11.06.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일합이상분 제30 현성스님 2016.11.07 3004
544 2016.10.30.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1.02 2507
» 2016.10.30.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위의적정분 제29 현성스님 2016.10.31 2853
542 2016.10.23.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불수불탐분 제28 현성스님 2016.10.27 2548
541 2016.10.23.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26 2730
540 2016.10.16.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무단무멸분 제27 현성스님 2016.10.19 2491
539 2016.10.16.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18 2535
538 2016.10.09.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15 2805
537 2016.10.9. 현성스님 법문 금강경 법신무비분 제26 현성스님 2016.10.09 2524
536 2016.10.02.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04 2517
535 2016.09.25. 불타사 일요 법회 공지 사항 심광@바라밀 2016.10.04 2530